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미국에서 노골적으로 중국과 북한 편을 드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외교가 안팎에서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그는 “중국이 경제적으로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공세적 외교를 펼치는 것은 당연하다”며 “중국의 주장을 듣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대변인의 발언으로 착각할 정도다.

외교부 장관이 중국과 전면적 갈등 중인 미국에서 이런 얘기를 했다는 것은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그는 “한국은 미·중 사이에서 선택할 필요가 없다”며 ‘반중(反中)블록’을 “냉전시대 사고방식”이라고도 했다. 북한의 핵 포기 여부 질문에는 “대북 보상을 제안하는 데 소심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지금의 한국을 있게 한, 혈맹의 면전에서 중국과 북한을 치켜세운 것이다. 미국으로서는 ‘배은망덕’이라는 단어가 떠오르고도 남을 상황이다. 하긴 문재인 정부의 그간 대중·대북 노선에 비춰 보면 정 장관 발언은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문제는 이런 ‘궤도 이탈’이 외교뿐 아니라 경제와 산업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한·미 양국은 반도체 협력과 관련해 매우 중차대한 시점에 와 있다. 원활한 협조가 되면 양국과 관련 업계 모두 ‘윈윈’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반도체산업 주도권을 중국에 넘겨줄 수도 있다.

미 백악관이 23일(현지시간) 올 들어 세 번째 반도체회의를 소집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삼성전자, 인텔, TSMC, 제너럴모터스(GM), BMW 등 굴지의 반도체·자동차업체들이 망라된 이번 회의는 유례없는 반도체 부족 사태에 대응하고 미국 내 반도체 인프라 구축을 위한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회의에서 “중국과 다른 나라들은 기다려 주지 않는다”며 반도체 인프라 구축의 시급성을 강조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이와 관련해 지난 5월 문 대통령 방미 때 17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조만간 구체적 입지 등이 포함된 대규모 파운드리 투자 계획이 발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또 세계 최대 파운드리업체 TSMC를 제치고 테슬라의 차세대 자율주행칩 위탁생산을 사실상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업계에서는 정 장관의 이번 발언이 행여나 이런 빅이벤트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우려하는 시각도 없지 않다. 외교와 경제는 불가분의 관계다. 정 장관은 자신의 편향된 시각이 국가 경제와 산업에 독이 될 수도 있음을 명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