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포커스] '어디에나 AI'를
국민 모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교육과 훈련을 펼쳐야 하는 시점이 됐다. 국민 1000만 명 이상이 AI에 능통해야 하고, 몇십 년 전의 전자계산기처럼 AI 알고리즘과 앱이 어디에나 넘쳐나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어디에나 AI’를 주장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의 핵심인 맞춤형 최적화(dynamic optimization)가 우리 국민 모두에게 절실하게 필요하다. 한양대 김창경 교수가 매번 강조하듯이, 이제는 치킨도 데이터로 튀겨야 하며, 농사도 데이터로 지어야 한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인생과 직업의 모든 중요한 결정이 AI의 도움으로 보다 스마트하고 고도화해야 한다. 치킨집의 레시피, 재료 조달, 주력 메뉴, 배달 방법, 사이드 메뉴 등의 의사결정이 AI에 의해 최적화돼야 한다. 농사도, 직장생활도, 과학기술 연구도, 취미활동도 그렇다.

둘째, 국민들의 AI 수요가 폭발하면 특화된 AI웨어가 SaaS(Software as a Service·서비스형 소프트웨어), XaaS(Anything as a Service·모든 것에 대한 서비스) 등의 형태로 공급돼야 한다. 창업의 큰 기회가 열리는 것이다. 대형 전문 서비스 기업이나 플랫폼도 활약하겠지만, 소규모의 특화된 서비스 기업의 공간도 열린다. 배달의민족이나 쿠팡 같은 아이디어가 3차원, 4차원으로 결합·융합된 고차원의 서비스 업체가 창발할 것이다. 이런 야무진 업체들이 세계에 진출한다.

셋째, 국민 개개인이 똑똑한 유권자로서 정책과 정치를 판단하고 깨어 있는 의식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복잡한 정치·정책 아젠다의 장단점과 부작용, 불확실성, 개별 국민에게의 영향 등을 분석해 제공하는 정보해석 서비스 업체가 등장할 것이다. 그러면 국민들은 보다 정의롭고 당당한 정치적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진정한 의미의 주권행사와 직접민주주의가 가능해질 것이다. 꼭 투표가 수단일 필요도 없다. 스마트해진 여론은 나태하고 부패한 정책과 정치를 그대로 두지 않을 것이다.

어떻게 교육훈련을 할 것인가. 세계 최고 석학에게 충분한 보상을 주고 프로그램 설계를 의뢰하자. 그가 영어로 만들겠다고 하면 그렇게 하면 된다. 어차피 주요 알고리즘은 모두 간단한 영어이니, 통번역 앱을 믿고 영어 실력 향상의 기회로 삼으면 된다. 그 토대 위에서 우리나라 전문가들과 기존 교육업체들이 세부 프로그램을 짜면 된다. 범국민 교육 플랫폼을 정부가 주도해서 개발하고 체계적인 교습과 피드백, 과제 처리, 질의응답, 강화학습, 평가 및 심화학습으로의 연결 등을 촘촘히 짜자. 필자도 초급선형대수학(Linear Algebra) 조교로 자원봉사하고자 한다. 이 거대한 무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제작, 운용하는 데는 수천억원이면 충분할 것이다. 환경을 파괴하면서까지 바다를 메워가며 공항을 짓는 비용의 1%면 된다.

중요한 조건이 하나 있다. 데이터 개방이다. 조각난 근본 없는 데이터를 선심 쓰듯이 국민에게 던져주는 것은 데이터 개방이 아니다. 데이터 무단투기다. 민간은 무단투기 데이터를 후처리하느라 고생하고 있다. 정부가 갖고 있는 데이터 중 3~5%만이 중요하거나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머지는 아무 제약 없이 국민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클라우드 보안인증제(CSAP)로 공공 및 의료 데이터를 보호하는 장벽을 만들어서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를 사실상 배제하고 있다. 겉으로 조금 남는 듯하지만, 속으로는 엄청난 손실을 자초하는 쇄국이다.

경쟁력이 있는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자(CSP)를 써야 한다. 기존 오픈알고리즘은 출발점이고, 이를 활용해서 새로운 영역에 뛰어들어야 한다. 어느 세월에 다시 원론, 기초 배우면서 시간을 허비할 것인가? 누구나 자유롭게 선택한 클라우드 환경에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강물처럼 흐르면 비로소 빅데이터가 된다. 빅데이터와 AI로 무장한 소비자와 기업, 유권자들은 매우 스마트해질 것이다. 비로소 풍요와 자유와 정의가 꽃피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