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투성이인 ‘옵티머스 펀드 스캔들’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금융감독원 중간 검사결과를 보면 이 펀드는 처음부터 의도된 사기였다고 볼 수밖에 없다.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다고 했던 투자제안서부터 가짜였다. 공공기관 투자는 아예 없었고, 부정거래와 펀드자금 횡령만 잔뜩 확인됐을 뿐이다.

옵티머스는 편입자산이라고 남아 있는 것의 98%가 비상장 4개 기업 사모사채다. 이미 구속된 옵티머스 2대 주주가 대표인 이들 회사도 이 돈으로 또 다른 곳에 투자를 했거나 자금만 거쳐 가는 서류상의 회사였다. 금감원도 이곳을 거친 투자처가 60여 개이며, 금액은 3000억원이라는 정도밖에 밝혀내지 못했다. 60여 개 투자처가 어떤 곳인지, 펀드에 편입된 5235억원 가운데 나머지 2200여억원은 어디로 갔는지 낱낱이 규명돼야 한다.

충격적인 ‘라임 스캔들’에 뒤이은 ‘옵티머스 스캔들’의 부당·불법 실체 규명에 금감원은 역량을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금감원의 팀장급 간부가 연루됐던 라임 때처럼 옵티머스 사기사건에도 원내 비호세력이 없는지 거듭 살펴볼 필요도 있다. 이 펀드에 대한 금감원 검사가 세 차례나 있었는데도 어떻게 가짜계약서가 수도 없이 쌓이면서 횡령자금이 수백억원에 달할 수 있었는지부터 수탁 금융사의 엉터리 편입자산 정보까지 제도적으로 살필 부분이 적지 않다. ‘금감원의 검사업무 방해’ 시도도 금감원 스스로가 실체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금감원 후속 업무와 별개로 검찰 수사가 중요해졌다. 사모펀드의 특성상 금감원의 검사권만으로는 실체를 규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전면적인 강제수사가 필요한 이유다.

옵티머스 의혹에 대해서는 2018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사의뢰가 있었다. 해외로 나가버린 이혁진 전 대표를 둘러싼 여러 의문거리부터 옵티머스자산운용 이사로 있으며 은행서류 위조 혐의로 구속된 윤모 변호사와 최근까지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이었던 그의 부인 행적까지 의혹투성이다. 곳곳에 ‘권력유착’ 혹은 ‘권력비호형 스캔들’의 어두운 그림자가 진하다. 강제수사권이 있는 검찰이 다 밝혀내야 한다.

사모펀드와 자산운용 제도, 나아가 자본시장의 건전한 발달이 검찰의 수사의지에 달린 상황이 돼 버렸다. ‘한국형 권력유착 스캔들’이라는 금융계 적폐를 단절해야 한다. 검찰까지 ‘정무적 판단’을 하면서 그림 짜맞추는 식으로 적당히 마무리해 버리면 한국의 자산운용 시장은 이 정도 수준에서 끝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