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노조가 파업 절차를 밟고 있다. 임금 인상을 놓고 노사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다. 현대자동차 노조는 기본급 5.3% 인상과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내달 2일 파업 찬반 투표를 할 예정이다. 기본급 7.9% 인상, 성과급 최소 250% 지급 등을 제시한 현대중공업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두 회사가 처한 경영 상황을 보면 노조가 연례행사처럼 ‘임금 투쟁’을 벌일 때인가라는 지적이 나올 만하다. 현대자동차는 내수와 해외시장 모두 판매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미국이 수입차에 최고 25% 관세부과를 추진하면서 ‘초비상’이 걸렸다. ‘고비용·저효율’ 구조도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오죽했으면 전임 노조위원장조차 “현대자동차 노조는 ‘회사가 망해봐야 정신 차린다’는 충고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을까 싶다.

현대중공업은 해양플랜트 사업이 조업 중단을 맞을 정도로 위기에 몰렸다. 중국과 싱가포르 경쟁업체에 원가 경쟁력에서 밀려 매번 수주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65달러로 경쟁사인 싱가포르 샘코프마린의 25달러에 비해 2.6배나 많으니 그럴 만하다. 지난해 4분기 1600억원의 적자를 낸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123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쯤 되면 노조가 임금 인상을 요구할 게 아니라 ‘고통분담’을 자청해야 맞는 것 아닌가.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근로자들의 임금은 전체 근로자의 상위 10%에 속한다. 위기에 선제 대응하지 못하면 아무리 큰 기업이라도 앞날을 장담할 수 없다. 눈앞의 이익에 매달릴 게 아니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사가 머리를 맞대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