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교육감을 잘 뽑아야 교육이 산다
6·13 지방선거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우리나라 교육을 책임질 교육감도 뽑는다. 교육감은 교육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53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예산을 다루고,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49만 명에 이르는 교사를 이끄는 교육계 수장이다. 또 교육감은 학교 신설을 결정하고, 아이들의 급식과 안전을 책임지는 최전선에 서 있다. 정부 정책을 현장에서 구현하고, 실질적인 교실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도 교육감의 역할이다. 문재인 정부는 이런 교육감 권한을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한다.

다가오는 교육감 선거는 교육뿐만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선택의 장이 될 것이다. 어떤 교육감을 뽑아야 할까.

첫째, 현재의 교육 문제에 대해 냉철히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지혜와 전략을 갖춘 ‘교육 전문가’를 뽑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이를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보여주는 사람을 선출해야 한다. 점차 줄어드는 학생 수가 교육 현장에 미칠 파급 효과를 예측하고, 이런 변화에 맞서 교육 체제를 어떻게 이끌어 갈지 복안을 제시해야 한다. 과거에 집착하거나 현재 인기에 영합하는 후보는 걸러내야 한다.

둘째, 교육계에 만연한 갈등을 치유하고 화합을 도모하는 ‘균형감 있는 지도자’를 선출해야 한다. 교육감은 특정 세력을 대표하는 사람이 아니다. 학생의 성장과 교육의 발전만을 생각하고, 교육 공동체의 역량을 모을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사람이 제격이다. 보수나 진보 단일후보라고 주장하거나, 특정 세력이나 집단의 추대를 받았다고 선전하는 후보는 당선 후에도 갈등과 혼란만 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산적한 교육 현안을 체계적으로 풀어갈 수 있는 ‘정책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 학생 수가 감소하는데 교원 수급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 자유학년제·고교학점제처럼 파급 효과가 큰 정책을 혼란 없이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는지, 돌봄 서비스부터 교실 미세먼지에 이르기까지 교육 문제를 세심히 살피는 안목과 정책 역량이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제 교육감 자리를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위한 징검다리로 삼으려는 정치인은 더 이상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보수교육감, 진보교육감이란 이념적 호칭을 몰아내는 것도 깨어 있는 유권자의 몫이다. 교육을 살리려면 교육감부터 잘 뽑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