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졸업생에게 줄 한마디 말을 위해
2월의 대학가는 졸업식과 입학식으로 분주하다. 의례적인 입학식을 폐지한 대학도 있고, 졸업생이 졸업식에 참석하지 않아 행사의 실효성을 고민하는 곳도 많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식은 학교나 학생에게 무척 특별한 통과 의례가 됐다. 식장인 극장 무대에는 졸업생 전원이 앉아 있다. 객석에는 학부모와 교수진이 가득하다. 무대 위 졸업생이 졸업식의 진정한 주인공이라는 공간적 의미다. 졸업생 한명 한명 이름을 모두 호명하며, 관객은 박수로 축하한다. 졸업생 수가 적은 8월의 하계 졸업식은 아예 전원에게 학위증을 수여한다. 재학생이 준비한 축하 공연은 그 자체로 완벽한 하나의 예술 작품이다.

입학식도 비슷하게 한 편의 공연으로 꾸며지니, 졸업식과 입학식을 담당한 단과대학에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더 큰 부담은 바로 총장인 필자에게 주어진다. 행사에 빠질 수 없는 총장 연설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대학에서 총장 연설문은 홍보팀에서 작성한다. 우리 학교도 직원들이 준비해왔다. 그러나 적어도 이 두 행사의 연설문은 직접 쓰리라 결심했고, 현재까지는 지키고 있다. 대개 입학식사는 ‘치열한 합격을 축하하며, 큰 배움터에서 자신의 길을 발견하고 정진하라’ 정도로, 졸업식사는 ‘졸업은 새로운 출발이며, 사회의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고 성공하라’는 것이 요지다.

문제는 이런 판박이 연설을 넘어 좀 더 참신한 주제를 찾아야 하고, 감동적인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다. 여름과 겨울 졸업식, 그리고 입학식, 1년에 세 번의 연설문을 써야 한다. 공식적인 기록으로 남으니 전보다 나은 글을 써야 한다. 5년이 지나니 이제 소재도 바닥나고, 반복의 유혹에 빠지기도 한다. 올해는 마침 평창동계올림픽 중이어서 인기 절정의 컬링을 소재로 삼아 겨우 넘길 수 있었다. 컬링 여자 대표팀에 승리 비결을 묻자 상대 순위를 의식하지 않고 곧 던질 샷 하나에만 집중했다고 답했다. 이를 응용해 “예술이란 경쟁이 아니라 자신과의 싸움이고 차가운 얼음판같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길 바란다”고 쓸 수 있었다. 횟수가 쌓여가면서 머리에 든 소재는 바닥에 가까워지니 연설문 부담으로 해마다 2월의 머리 한구석은 하얗게 마비될 지경이다. 그래도 신입생과 졸업생에게 기억에 남을 말 한마디는 꼭 전하고 싶다. 그것이 총장으로서, 선학으로서 줄 수 있는 최소한의 선물이라 생각한다. 아, 또 며칠 앞으로 다가온 입학식에는 무슨 이야기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