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를 선언했다. 독일 등 주요국 정상과의 전화통화를 통해 “중국과 인도에 비해 미국이 크게 불리하다”며 재협상도 요구했다. 미국의 탈퇴 선언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유럽 주요국 정상들은 ‘협약 내용 이행’을 다짐했지만, 파리협정(기후협약)은 중대한 고비를 맞게 됐다.

미국의 탈퇴에 자극을 받은 후발 개도국들이 탄소배출 기준 완화를 요구하는 등 협약 내용을 흔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파리협정과 온난화에 대처하는 세계 공조(共助)가 허물어질지 모른다는 경고를 내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한 것은 일차적으로 철강 석유 등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긴 하지만, 여전히 논란거리인 또 다른 문제를 제기한다.

지구 온난화 원인을 둘러싼 과학계의 끝나지 않은 논쟁이 그것이다. 197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이바르 예이버 교수 등 적지 않은 과학자들이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란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가늠하기 쉽지 않지만 파리협정이 변곡점에 섰다는 전망이 나온다. 우리나라가 탄소가스 감축에 앞장서 달려갈 이유가 없다는 지적도 있다.

이참에 과도하게 책정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2015년 산업계의 반대에도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예상 배출량 대비 37%로 할당했다. 기업들은 탄소배출권을 사고 싶어도 제대로 살 수가 없는 처지다. 미국과 일본도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탄소배출권 때문에 기업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게 현실이다. 브레이크가 걸린 파리협정의 상황을 봐가며 ‘속도조절’을 하자는 지적에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