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칼럼] 창조경제혁신센터 기능을 확대 보강해야
4차 산업혁명은 이제 시대적 키워드가 됐다. 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후보자들은 여야 구분 없이 4차 산업혁명을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최우선 정책 아젠다로 내세웠다.

18세기 증기기관 발명을 통한 기계화혁명을 시작으로 19세기 전기에너지에 의한 2차 산업혁명, 20세기 정보화기술에 기반한 3차 산업혁명을 거쳐 우리는 불과 반세기 만에 4차 산업혁명이라는 또 한 번의 변곡점을 마주하고 있다. 3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으로 작용한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은 혁신(innovation), 지능화기술(intelligence), 창의성(creation)이라는 가치가 더해지면서 또 다른 ICT(Innovation & Intelligence, Creativity, Technology)로의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기술 기반 창업가들에게는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절호의 기회가 아닐 수 없다. 독창적인 기술을 보유한 창업가들의 혁신적 DNA, 열정, 빠른 의사결정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융합, 개방, 협업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경쟁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 창업 생태계는 어떤 모습으로 진화해야 할까.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의 창업 허브로서 생태계를 조성하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해 왔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 차원의 대기업이 협력해 창업 생태계를 육성하는 모델을 세울 때 전문가들 의견은 분분했다. 하지만 지역 현장에서 고유의 역할을 찾아 뿌리를 내리면서 긍정적인 평가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처럼 민간 창업 생태계가 성숙되지 않은 국내 상황에서 중앙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는 것은 생태계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필요 조건이다. 또 지역 경제의 균등 발전을 위해서도 지방정부 역할이 필요하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성장에 기여한 대기업 역할도 작지 않다.

창업기업을 키울 수 있는 생태계와 벤처기업·중소기업을 육성하는 생태계는 근본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기업을 육성하는 구성원들은 창업기업가들에 버금가는 혁신 DNA로 무장돼 있어야 한다. 단순히 편성된 예산을 가지고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숨은 창업기업을 현장에서 발굴하고, 성장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진정한 파트너로서의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지역 창업 생태계를 조성할 때 관련 조직 간의 일방적인 통합이나 업무 재조정은 지양해야 한다. 민간 주도의 혁신과 열정의 DNA가 혁신 창업 생태계에 온전히 이식될 수 있도록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경제정책 공약 중 하나는 ‘창업 국가 건설’이다. 지역 창업 생태계 조성과 창업 문화의 확산을 이끌어 온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창업 플랫폼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질 높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창업 및 혁신의 허브 기능을 맡아 온 창조경제혁신센터 기능을 발전적으로 확대 보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미 뿌려진 씨앗을 잘 키움으로써 창업 생태계가 견실하게 구축돼 새 정부의 국정 아젠다가 성공적으로 달성되길 기대해본다.

임종태 < 창조경제혁신센터협의회 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