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렇게 정부의 부동산 정책들은 하나하나 나올 때마다 새로운 부작용들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제 좋은 입지는 아예 넘볼 수도 없게 됐고, 한 번 사보려고 했던 곳들마저 부동산 정책의 부작용 속에 풍선처럼 부풀어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현장을 김민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울 도봉구 창동의 한 아파트.

올해 초 9억800만원에 팔렸던 이 아파트 29평형은 4월에는 2억 가까이 오른 10억9500만 원에 거래됐습니다. 지금 나와 있는 매물은 11억 원을 훌쩍 넘습니다.

4월에 8억9000만 원에 팔렸던 18평형의 호가는 어느새 10억 원을 넘겼습니다.

[김은영 도봉구 A공인중개사 : 매물이 워낙 없을 때는 하나만 거래가 되면 그게 시세가 되거든요. 하나하나 계약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조금이라도 (매물이) 더 나와줘야 하는데, 없는 게 문제죠. 그래서 가격은 사실상 떨어질 수가 없죠.]

중랑천을 건너 바로 옆 노원구 상계동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이 아파트 28평형은 지난 달 신고가인 9억5000만 원에 거래됐고, 바로 옆 단지는 거래가 이뤄지는 족족 평형별로 신고가를 쓰고 있습니다.

임대차 3법으로 전세매물이 사라지자 실수요자들이 비교적 집값이 싼 도봉구와 노원구로 몰린 데다, 재건축 기대감까지 반영되면서 집값이 무섭게 오르고 있습니다.

실수요자들이 많이 찾았던 노원과 도봉, 강북 등 이른바 노·도·강 3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 1년새 40% 가까이 올랐습니다.

지난 주 서울 아파트값은 2019년 여름을 넘어 1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부동산 정책 부작용으로 인한 풍선효과가 다시 서울 집값을 달구는 불쏘시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 최근에는 실수요자의 내집마련 수요가 쏠리는 지역들이 시장을 이끄는 지역들로 평가됩니다. 이 때문에 서울에서도 가격 수준이 낮은 노도강, 금관구 지역의 시세변동에 따라 서울은 물론 수도권 전체 주택시장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7월 시작되는 대출규제 완화는 서울 외곽과 경기, 인천 등 중저가 아파트값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집값 잡기에 실패한 문재인정부가 기약도 없는 공급만 외치고 있는 사이, 대통령이 맞았다던 죽비에 국민들의 삶이 멍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민수입니다.
서울 도봉구 창동에서 바라본 노원구청 일대 (2021. 6.16)
김민수기자 ms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