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뀌는 세뱃돈 풍속도
"세뱃돈, 엄마가 맡아줄게" 옛말...우리아이 재테크는 어떻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설 명절 직전 은행창구는 세뱃돈 신권교환을 위해 방문한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하지만 최근 이런 모습은 점점 찾아보기 힘들어지고 있다. 대신 외국돈을 바꿔가거나 모바일로 세뱃돈을 주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설 연휴에 바캉스를 떠나는 이른바 ‘설캉스’가 늘고, 카카오톡과 토스 등 모바일 앱을 통한 송금이 재밌고 편해진 까닭이다.

실제로 올해 설 연휴기간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여행객은 104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보다 연휴기간이 줄었음에도 여행객은 2.8% 증가했다. 모바일 세뱃돈도 증가세다. 카카오에 따르면 2018년의 경우 설 연휴 전후로 송금액이 평소 대비 19% 증가했고, 2019년의 경우 29%가 증가했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송금통부 기능에 `설날` `2020` `부자되세요` `고마워요` 등의 메시지를 추가했다.

저출산 현상도 세뱃돈 풍경을 바꿨다. 설 명절에 친가와 외가를 돌며 세배만 10번은 했던 세대가 어른이 됐지만, 세뱃돈을 줄 조카는 드물다. 세뱃돈을 줄 사람이 받는 사람보다 많아진 시대가 된 것이다. 물가상승을 더해 자연히 세뱃돈 금액도 커지고 있다. 입학·졸업·취업까지 맞물리면 많게는 몇 백 만원 돈이 오가기도 한다.

엄마·아빠 어린시절의 세뱃돈

"세뱃돈, 엄마가 맡아줄게" 옛말...우리아이 재테크는 어떻게?


세뱃돈 풍속과 관련해 1971년에는 7세 미만 아이들에게는 50원보다 적은 돈이나 장난감, 국민학생(초등학생)에게는 100원 정도를 쥐어줬다. 중·고등학생은 100~200원 정도이거나 학용품을 미리 사뒀다가 주는 것으로 세뱃돈을 대신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후 1982년에 500원이 지폐 대신 동전으로 발행되면서 세뱃돈도 지폐의 최소 단위인 1000원 이상으로 껑충 뛰었다. 1988년엔 `세뱃돈 대학생 5000~1만원, 어린 학생들은 3000원씩`, `국민학생 1000원, 중·고·대학생 5000원`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친척들로부터 받은 세뱃돈은 집으로 가는 길에 부모님께 ‘헌납(?)’하는 게 보통이었다. “잘 맡아뒀다가 크면 준다”라는 구실이다. 형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그 돈은 주로 학용품과 참고서, 밑반찬 재료를 사는데 쓰였다.

요즘 아이들의 세뱃돈
"세뱃돈, 엄마가 맡아줄게" 옛말...우리아이 재테크는 어떻게?
2020년 현재 세뱃돈은 얼마면 될까. 이를 두고 포털사이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직장인 10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올해 직장인들은 설 세뱃돈 지출을 16만4000원으로 예상했다. 미혼 직장인은 12만3000원을 예산으로 잡았으나 기혼 직장인은 28만3000원을 쓸 예정이라고 답했다.

세뱃돈을 받는 사람의 나이로 나누면,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에게는 1만원(48.8%), 중·고등학생에게 적절한 세뱃돈 액수는 5만원(36.9%)이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아이들은 더 많은 세뱃돈을 기대했다. EBS 스쿨잼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경우 5만원이 21.3%로 가장 많았고 3만원(20.1%), 1만원(19.5%)이 뒤를 이었다.

청소년 소비 유형과 행태 분석에 따르면 이렇게 풀린 세뱃돈의 약 80%가 소비시장으로 돌아온다. 특히 지금의 문화콘텐츠와 IT기술을 당연하게 여기는 2000년생들은 고가의 연예인 굿즈, 게임아이템, 스마트폰 구입도 망설임이 적다.

재테크 시작은 어린 시절부터
"세뱃돈, 엄마가 맡아줄게" 옛말...우리아이 재테크는 어떻게?
그렇다면 전체 세뱃돈 규모는 얼마나 될까.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약 5조7천억원 규모 정도로 어림잡아 볼 수는 있다. 지난해 1분기 기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가구간이전지출(28만6천원)에, 전체 가구 수 2천만가구(1,997만 가구)를 곱한 수치다. 물론 이 수치엔 각종 경조사비, 부모님 용돈 등도 포함돼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설 연휴 전 10영업일간 금융기관에 5조5,953억원의 화폐를 공급하기도 했다. 어른 한명의 세뱃돈을 보면 그다지 많지 않아 보이지만, 우리나라 전체로 보면 꽤 큰 시장인 셈이다.

세뱃돈의 20% 정도는 예·적금 등 저축으로 활용된다. 금융권 전문가들은 “아이 이름으로 된 금융상품에 가입해 세뱃돈과 용돈을 넣으면 어린시절부터 자녀의 경제관념을 키워주면서 목돈 마련까지 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라고 입을 모은다.

금융회사들은 `설 명절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KB국민은행은 1년간 매달 300만원 이하의 금액에 연 최대 2.9%의 이자를 주는 KB 영 유스(Young Yuth)적금을 운영중이다. 신한은행은 매달 30만원 한도로 최대 12년간 2.8%까지 이자를 주는 신한 용돈관리 포니(Poney) 적금이 있다. KEB하나은행과 SKT의 합작사인 ‘핀크’는 2020 세뱃돈 마케팅을 진행중이다. 연 최대 5% 금리의 ‘핀크 T high5 적금’ 신규 가입자 전원에게 추가로 2,020원을 증정한다.

예전에는 미성년자 주택청약 통장의 이자가 높아서 인기가 많았지만, 지금은 한풀 꺾였다. 현재 미성년자 주택청약 통장의 이자는 1.8% 정도다. 특히 주택청약 통장은 만기가 없기 때문에 돈이 필요할 때 반드시 해약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 때 부모 통장에서 이체된 자금은 증여 대상이 된다. 몇 년을 유지했든 청약자격도 미성년자는 납입 기간은 2년, 납입횟수 24회만 인정된다. 따라서 미리 가입하지 말고 17세가 된 후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녀 학자금이나 결혼자금 마련 등 10년 이상 장기 투자를 목표로 하는 경우도 있다. 어린이 펀드를 활용하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다. 어린이나 청소년을 위한 경제 프로그램 혜택도 경험할 수도 있다. 다만 어린이 펀드라고 해서 특별한 곳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다. 투자 유형과 수익률 등은 꼼꼼히 챙겨 봐야 한다. 펀드를 활용하면 세제혜택을 누릴 수 있다. 만 18세 미만의 자녀 명의로 펀드를 가입하면 10년간 2,000만 원까지 증여가 가능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우리 아이펀드 시리즈`는 국내에 설정된 어린이 펀드 중에서 규모(2800억 원)가 가장 큰 상품이다.

고영욱기자 yyko@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