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10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주도로 쇼핑 축제인 `코리아세일페스타`가 진행됐었는데요.

유통업계는 발품만 팔고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울상을 지었습니다.

그런데 정부는 내년 1월에 또 비슷한 행사를 개최합니다.

김태학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의 주도로 9월말에서 10월초까지 진행된 `코리아세일페스타`.

국내 최대 할인 행사를 표방했지만, 정작 유통업계의 반응은 시큰둥했습니다.

정부 측이 참가하는 기업들과의 소통에 소홀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 참가사 관계자

시기 상에 대한 아쉬움이 있는거고. 그리고 이번에 광고나 홍보나 이런 것들도 국가 주도적으로 대대적으로 안된 점 이런 점들이 아쉬운 부분이긴 하죠.

참가 기업들이 효과를 느끼지 못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비슷한 행사를 지속적으로 양산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내년 1월에 `코리아그랜드세일` 행사를 엽니다.

`코리아세일페스타`와 이름까지 비슷해서 혼동하기 쉽습니다.

`코리아그랜드세일`도 업계의 평가는 마찬가지.

이제 10회째를 맞고 있지만, 외연만 확장됐지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하다는 평입니다.

[인터뷰] 지난해 코리아그랜드세일 참가사 관계자

사실 저희 입장에서 크게 뭐 효과가 있지는 않았어요. 사실 이런 행사들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이러지는 않은것은 사실입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크게 업체들마다 비슷할거에요. 도움이 되거나 이러지는 않은거 같습니다.

행사를 주최하는 문체부 소관 재단법인인 한국방문위원회도 이 같은 업체들의 목소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한국방문위원회는 "기업의 자발적인 참여에 기반한 행사로 한정된 예산으로 전 세계 프로모션을 실시하다보니 늘어나는 참여기업을 모두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미미한 할인율이나 혜택으로 참여한 기업의 경우 코리아그랜드세일의 효과에 대해 만족감이 떨어진다"고 답했습니다.

이렇게 정부의 `보여주기식` 쇼핑 축제가 계속되면, 소비자에게도 업계에게도 좋을 것이 없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훈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정책적 차원으로 갈 때는 아무래도 소비자와 밀접한 간격을 유지하기 힘들죠. 정부가 주도하려고 하는 것은 소비 생태계에 맞지 않을 수 있어서 업계가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이 바람직 할 것 같고, 시기도 몰아서 같이 하는 것이 힘있게 추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외연 확장에만 힘을 쏟는 정부 주도 쇼핑 축제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김태학입니다.

김태학기자 thkim86@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