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동산 값은 천정부지로 뛰고 있지만, 철저히 목 좋은 곳에만 수요가 몰리고 그렇지 않은 곳은 분양 조차 어려운 실정입니다.

`미분양 공포`가 수도권 주택시장에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정부의 공급 확대책에도 입지가 최우선 고려 대상이 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이서 이지효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6월부터 입주를 시작한 용인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미니 신도시급` 대단지로 관심을 모았지만 몇달 째 빈집입니다.

전세 물량이 워낙 많아 세입자로 채우기도 쉽지 않은 상황.

입주 전만 해도 1억 2천만원 하던 전세값은 4천만원까지 내려갔습니다.

평택도 여전히 `미분양의 무덤`으로 불립니다.

미군기지 이전, 반도체 공장 신설 등 개발 호재에도 인근 아파트는,

분양가보다 수천만 원 떨어진 가격, 이른바 `마이너스 프리미엄`에 매물이 거래됩니다.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부양책으로 초과 공급됐던 물량이 올해부터 입주를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권대중 /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원하는 지역, 선호하는 지역에 공급이 됐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거죠. 다시 말하면 주택 공급을 하는 데 5년 정도 걸리거든요. 택지를 구입하고 보상하고 평가하고 인허가하고 건물 짓는 게 4~5년 걸리잖아요."

이번 정부에서도 집값 안정을 위해 수도권에 30만호의 신규 주택을 추가로 공급한다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도권이라도 입지 조건이 좋지 않으면 수요 불균형을 잡기는 어렵다고 조언합니다.

<인터뷰> 함영진 / 직방 빅데이터 랩장

"수도권 내에서는 경기 남부 지역에 입주량이 쏠리는 지역들이 있거든요, 시흥, 평택, 화성, 용인 지역들인데. 정부가 공급하려는 신규 택지나 공급 정책이 수요자가 원하는 대기 수요가 있는 지역으로 집중될 필요가 있습니다."

서울과 가까운 지역의 공급이 늘지 않으면 부동산 지역별 양극화 현상은 수도권으로까지 옮겨붙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입니다.

이지효기자 jhlee@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