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정부가 최근 시드니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업인 오스그리드의 매각을 저지하는 예비 결정을 내렸다 한다. 중국의 국가전망공사가 100억호주달러(약 7조8000억원)를 들여 인수할 기업이었다. 국익에 배치된다는 게 호주 측 설명이다. 하필 중국이냐는 식의 분위기도 감지된다. 호주는 중국 해커들의 공격을 받은 적도 있다. 미국과 동맹 관계인 호주로선 경제적 실리보다 안보가 우선이다. 호주 외에 최근 영국도 중국 기업의 원자력 건설사업 참여를 유보했다. 미국도 반도체 기업 칭화유니의 마이크론 인수에 제동을 걸었다.

안보만의 문제도 아니다. ‘중국식 경영’으로 미화된 마구잡이 M&A가 세계 경제의 암적 요소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미 각국이 중국 M&A를 경계심을 갖고 보고 있다. ‘새로운 불청객’(WSJ)이라는 논평도 나온다. 중국 가전업체인 메이더그룹이 지난 6월 독일 최대 산업용 로봇업체 쿠카를 인수할 때 독일 정계가 나서 다른 나라에서 이 기업을 사달라고 요청한 적이 있을 정도다. ‘좀비기업’으로 찍혀 있는 중국 중장비업체 중롄중커(줌리온)는 올해 초 미국 경쟁사인 테렉스를 33억달러에 인수하겠다고 나서기도 했다. 안방보험의 미국 스타우드호텔 인수 실패건도 마찬가지다. 돈의 힘으로 밀어붙이다 보니 과거 5년간 중국 기업들은 M&A에서 절반만 성공했을 뿐이라는 보고도 있다.

물론 중국의 해외기업 M&A는 급증하고 있다. 올 6월까지 중국 기업의 M&A는 전년 동기의 두 배가 넘는 1225억7240만달러에 달한다. 중국 경기가 둔화되면서 선진 기업의 기술과 브랜드를 직접 공략하려는 전략적 선회다. 위안화 헤지 수단이라는 지적도 있다. 전략적 인수라기보다는 위안화의 자본유출이다. FT는 중국의 ‘부채폭탄’이 외국으로 전가되는 형국이라고 평가한다. 가뜩이나 중국 무역통계에 대한 분식 의혹이 깊어지는 마당이다. 이래저래 냉소적인 반응들이다. 이들이 한국 벤처를 쓸어담는다는 소식도 있다. 문제는 중국 자본의 안정성과 지속성이다. 중국 자본에 대한 혐오증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