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기술이 강화된 환경 규제를 돌파하기 위한 자동차 제조사의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이미 우리 운전 생활을 바꿔놨다. 자동차 업계에선 2020년이면 스스로 완전히 통제하는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것이란 전망을 일찌감치 내놨다. 여기에 자율주행차에 적용될 다양한 기술은 이미 도로 위를 달리는 수많은 자동차에 적용돼 있다.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차선을 옮길 때 각종 경고음과 진동 등으로 운전자에게 신호를 보내는 차선이탈경보 시스템,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미리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속도를 줄이거나 완전히 차를 멈춰 세우는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 페달만 조작하면 좁은 공간에도 손쉽게 차를 세울 수 있는 자동 주차 어시스트 등이 대표적이다.

[기자파일]자율주행차, 효율 측정에 도입된다면...

이처럼 안전분야에서 각광을 받는 자율주행 기술이 최근 연료효율 개선과 배출가스 저감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가 더 많이 보급될수록 도로 위에서 낭비하는 연료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한다.

자율주행차의 핵심은 연결성이다. 차와 차, 차와 도로 등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교통 흐름을 예측하게 된다. 내비게이션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확인하고 덜 막히는 우회로를 찾아가듯 차가 스스로 원활한 도로를 선택해 달릴 수 있다는 것. 자연스럽게 교통량이 분산되고 급제동이나 급출발 등이 줄면서 운송분야 전체의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자파일]자율주행차, 효율 측정에 도입된다면...

따라서 자율주행 기술은 자동차 제작사들에게 실질적인 친환경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카네기멜론대학 기계공학 연구진에 따르면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연료효율을 측정할 경우 현행 미국 환경보호청(EPA) 기준으로 수치가 10%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세계적으로 자동차 연료효율과 배출가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이런 연구 결과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9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평균 효율과 배출가스 기준이 점차 강화된다. 2020년이면 국내에서 자동차 회사가 판매하는 승용차의 평균 효율이 ℓ당 24.3㎞ 이상 또는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은 ㎞당 97g 이하를 충족해야 한다. 미국의 경우 평균 효율 기준을 2025년까지 ℓ당 약 23.9㎞, 일본은 2020년까지 ℓ당 20.3㎞, 유럽연합은 2020년 ℓ당 26.5㎞까지 기준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러한 각국의 규제는 효율이 떨어지는 몇몇 차종을 퇴출하고 소수의 친환경차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통과할 수 없다. 시판 중인 차의 평균치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효율 측정 기준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나라는 없다. 그러나 자율주행차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스스로 달리는 자동차가 도로 위의 현실이 된다면, 그리고 지금보다 친환경적이라면 선제적인 고민이 필요하지 않을까. 더불어 규제 강화가 기업의 적극적인 연구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흔치 않은 사례이니 말이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티볼리 에어, 투싼 및 스포티지 겨냥 성공했나
▶ 포드, 신설 멕시코 공장서 친환경차 집중생산
▶ 아우디, 얼굴과 심장 바꾼 A3 세단 소개
▶ 알파로메오, 내년 첫 SUV 내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