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국가 필수 예방 백신으로 지정된 19종류 가운데, 국내 제약사가 생산할 수 있는 백신의 종류가 7종 뿐입니다.폐렴과 결핵, 홍역 등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감염병들도, 국산 백신으로 예방할 수 없는게 우리의 현실인데요,정부가 부랴부랴 백신 자급율을 높이겠다며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는 있지만, 정작 중요한 내용은 빠졌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이문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기자>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30%대에 그치고 있는 백신 자급율을 2020년까지 7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인터뷰> 김승희 전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세계 시장 선점을 위한 수출 지원과 제품화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제 공조 체제를 구축하고 최신 정보를 공유하면서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최우선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임상시험 규제를 완화하고 수출 길을 열어 기업들이 백신 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겁니다.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제약 업계의 마음을 답답하기만 합니다.백신 개발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원은 빠져있기 때문입니다.<인터뷰> 장도순 한국제약협회 백신위원회 위원"우선 제약사들이 투자를 할 수 있는 규제 완화가 필요합니다. 지금 가장 필요하다고 보는 것은, 정부에서 우선적으로 구매하는 시스템이 도입되면 아무래도 백신 회사들의 투자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백신 주권화를 위해 제약업계는 국내 제품 우선 구매와 임상시험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기존 화학 의약품은 임상 2상까지 정부의 세액공제가 이뤄지지만,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임상시험에 대한 세액공제 기준이 모호하고 까다로워 제약사들이 혜택을 받기 어렵습니다.실제로 신약 개발에 있어 임상시험에 전체 투자비의 80% 이상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원 없이는 개발에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하지만, 이에 대해 주무부처인 식약처는 "세액공제의 결정권자는 기획재정부"라며 "우리는 업계의 의견을 전달할 뿐"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백신에 대한 세액공제는 식약처에서 세제지원을 요구하면 기획재정부가 이를 검토해 예산에 반영하는 구조입니다.제약업계는 백신 산업의 경우 국민의 생명과 직결될 문제일뿐만 아니라, 산업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식약처의 보다 적극적인 행동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한국경제TV 이문현입니다.이문현기자 mhlee@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분당 예비군 실종자, 전문가들도 "자살 보다는 타살"..진짜 수상해!ㆍ`분당 예비군 실종자 가입` 고통 즐기는 커뮤니티 뭐길래? 의혹 증폭ㆍ분당 예비군 실종자 오늘 부검…`양손·발·가슴` 결박 미스터리 밝혀지나ㆍ이이경, "동성애 연기 후 집 나왔었다" 깜짝 고백ㆍ[날씨예보] 전국 흐리고 곳곳에 봄비…주말 날씨는?ⓒ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