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이 보유한 시중통화량 13.4% 증가
은행에 예치한 기업 예금 1년 새 26조원 늘어


저금리 장기화로 시중통화량이 늘어난 가운데 기업이 보유한 돈도 급증세를 나타내고 있다.

21일 한국은행의 '통화 및 유동성' 자료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시중통화량(M2) 잔액(원계열 기준) 2천247조3천억원 가운데 기업이 보유한 금액은 590조7천억원으로 전년 말(520조9천억원)보다 13.4%(69조7천억원) 늘었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2년미만 정기예적금, 머니마켓펀드(MMF) 등을 포괄하는 대표적인 유동성 지표다.

지난해 기업의 M2 증가액은 2014년 10조원의 7배에 가깝고 한은이 관련 통계를 편제한 2001년 이후 연간 기준으로 최대 규모다.

종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컸던 2009년 54조5천억원이 가장 많았다.

기업의 M2 증가율은 2009년(16.4%)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또 지난해 M2(연말잔액 기준)의 전체 증가율 8.2%보다 훨씬 높고 가계 및 비영리단체(6.5%)의 2배 수준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M2는 2014년 말 1천126조4천억원에서 작년 말 1천199조6천억원으로 1년 사이 73조원 가량 늘었다.

시중통화량에서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지만, 증가 속도에선 기업에 유입된 돈이 가계보다 훨씬 빠른 셈이다.

특히 지난해 기업이 은행에 맡긴 돈이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살펴보면 작년 말 기업이 국내 은행에 예금한 잔액은 348조원으로 1년 전보다 8.3%(26조7천억원) 증가했다.

기업의 은행예금 증가율은 2014년(3.4%)보다 훨씬 높고 2011년(10.5%)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실물경제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기업 부동자금의 증가세를 반영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기업은 수익으로 재투자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예금 등으로 묶여 있는 돈이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투자는 4.0%, 설비투자는 5.2% 각각 증가했다.

전반적인 투자지표는 나쁘지 않지만 일부 기업들은 수익으로 유동성이 큰 현금성 자금을 많이 쌓아둔 것으로 보인다.

기업이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미래에 대한 투자에 대비해 저축을 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기업의 지나친 저축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효과도 낮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전망 악화로 기업들이 단기 유동성 자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투자로 이어지는 효과는 약하다"고 말했다.

그동안 기업이 돈을 쌓아두면서 투자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돼왔다.

작년 9월 더불어민주당 김현미 의원이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1천835개 기업을 전수조사한 결과, 연간 투자 규모는 2008년 112조4천억원에서 2014년 112조2천억원으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반면 사내유보금은 같은 기간 326조원에서 845조원으로 519조원(158.6%) 증가했다.

사내유보금은 기업의 당기이익 중 세금과 배당 등의 지출을 제외하고 사내에 축적한 이익잉여금에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이다.

공장, 설비 등 유형자산과 재고자산을 포함하는 만큼 단순히 쌓아둔 돈이라고 볼 수 없지만, 투자 위축의 영향을 일정 부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표> 기업이 보유한 통화량 추이(2015년은 잠정치)

┌──────┬──────────────────┬───────────┐
│ 연도 │ M2 잔액(연말·원계열 기준) │ 증가율(증가액) │
├──────┼──────────────────┼───────────┤
│2009 │ 386조4천108억원 │ 16.4%(54조5천832억원)│
├──────┼──────────────────┼───────────┤
│2010 │ 403조7천825억원 │ 4.5%(17조3천717억원) │
├──────┼──────────────────┼───────────┤
│2011 │ 451조1천442억원 │ 11.7%(47조3천617억원)│
├──────┼──────────────────┼───────────┤
│2012 │ 472조1천979억원 │ 4.7%(21조537억원) │
├──────┼──────────────────┼───────────┤
│2013 │ 510조8천919억원 │ 8.2%(38조6천940억원) │
├──────┼──────────────────┼───────────┤
│2014 │ 520조9천577억원 │ 2.0%(10조658억원) │
├──────┼──────────────────┼───────────┤
│2015 │ 590조7천468억원 │ 13.4%(69조7천891억원)│
└──────┴──────────────────┴───────────┘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