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입된 펀드 자금의 60% 가량이 이미 신흥국을 빠져나갔다.따라서 올해 신흥국에서의 자금 유출세는 다소 진정될 가능성이 있다.다만 내년에는 미국이 계속 금리를 올리고, 중국 경제의 부진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신흥국에서의 펀드 자금 유출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여기에 신흥국의 과도한 부채와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이 신흥국에 대한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어 신흥국으로의 자금 유입은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신흥국 유입 펀드 자금 60% 유출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3일 기준으로 2015년 한 해 신흥국 펀드에서 총 992억 달러가 빠져나갔다.2013년과 2014년에 각각 309억 달러, 252억 달러가 순유출돼 3년 연속 신흥국 펀드에서 빠져나간 자금은 총 1,552억 달러에 달한다.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신흥국 펀드로 순유입된 자금이 2,657억 달러라는 점에서 금융위기 이후 유입된 자금의 58.4%가량이 신흥국을 빠져나간 것으로 계산됐다.신흥국에서의 자금 유출은 미국의 긴축이 예견된 2013년부터 시작됐다.당시 벤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5월에 연내 양적완화 규모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시사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요동쳤다.특히 신흥국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렸다.신흥국 증시가 급락했고, 통화 가치는 크게 추락했다.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으로 유입된 자금이 대거 빠져나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2013년 신흥국 펀드에서 순유출된 금액은 주식형 159억 달러, 채권형 150억 달러로 총 309억 달러에 달했다.당시에는 주식형과 채권형에서 모두 고르게 유출세가 나타났다.지난해의 경우 중국 증시 폭락 여파로 주식형에서 723억 달러, 채권형에서 268억 달러가 각각 빠져나가 주식형 펀드 유출세가 상대적으로 강했다.지난해 신흥국에서 자금 유출은 중국 증시 폭락과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자원 신흥국의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결과다.특히 연준과 다른 중앙은행 간 통화정책 차별화가 부각되며 선진국으로 자금은 꾸준히 늘고 있다.서비룡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2013년 `테이퍼 텐트럼`으로 (미국의) 정책 정상화에 대한 우려로 신흥국에서 투자자들이 자금을 환수하기 시작했다"며 "지난해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에 대한 경기 둔화 우려가 있어 유출이 더 심해졌다"고 설명했다.◆ 올해 유출세 진정될 듯…불확실성은 여전 2013년부터 신흥시장을 흔들었던 미국발 긴축 우려는 미국이 지난해 12월에 9년 만의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일단 해소됐다.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올해 신흥국에서 펀드 유출세는 다소 진정될 것으로 예상했다.또 금융위기 이후 유입된 펀드의 60% 가량이 이미 신흥국을 빠져나간 점도 추가적인 자금 유출 압박을 낮추는 요인이다.김수명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상 속도 등 정책변수가 있어 상황을 봐야겠지만, 올해는 지난해보다는 유출세가 진정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서비룡 국제금융센터 연구원도 "지난해 미국의 금리인상 전에 많은 투자자가 포트폴리오를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유출될 자금은 상당 부문 유출이 됐다"고 평가했다.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 지속, 중국발 경기둔화 우려,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추가 하락 가능성 등이 올해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은 부담이다.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경우 신흥국의 자금 유출세는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서 연구원은 유출세가 진정되더라도 "올해 신흥국 경제가 계속 둔화하고, 미국이 서너 차례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돼 유출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그는 또 지난해 말을 중심으로 하이일드 채권형 펀드 등에서 자금 유출이 가속화된 점을 지적하며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며 "향후 펀드 청산이나 환매 중단 사태는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한국에 투자하는 펀드에서도 자금 유출은 지속될 전망이다.다만 자원 취약국에 비해서는 유출세는 덜할 전망이다.김수명 연구원은 "신흥 아시아를 중심으로 지난해 외국인 매도가 많았다"라며 "한국도 자금 이탈이 거세지기보다 추가적인 유입이 제한되는 정도일 것"이라고 전망했다.서 연구원은 "한국은 중국발 리스크도 있지만, 최근 신용등급이 올라 자금 유출과 유입 요인이 모두 상존한다"며 "한국은 다른 신흥국과 차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특히 "올해는 유가가 많이 떨어져 유가 관련 국가의 펀드에서 자금 유출이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온라인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채국희 열애설 오달수, 과거 "배우 안됐으면 노숙자 됐을 것"ㆍ`내 사위의 여자` 이상아, 누드 개런티 얼만지 보니…"후회한다"ㆍ천만요정 오달수, 채시라 동생 채국희와 `핑크빛 로맨스`ㆍ사우디, 이란과 외교관계 단절‥국제유가 2% 이상 급등ㆍ치주염, 구취 막아주는 `이것` 불티 판매ⓒ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