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의 핵심인 센서 기술 경쟁력이 중국보다도 낮다고 한다. 사물인터넷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사물들끼리 정보를 교환해 인간 대신 여러가지 일을 처리하는 분야다. 가트너에 따르면 2020년 세계시장 규모가 4조5000억달러(약 48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센서는 통신망 인터페이스 등과 함께 사물인터넷의 3대 핵심부문이다. 감각기관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세한 소리 냄새 움직임 등까지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의 경쟁력을 좌우한다. 구글과 애플이 이미 생체센서까지 연구하고 있는 등 적용범위가 커져 2020년 세계시장이 1417억달러(약 153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다. 한국의 센서 기술력은 미국의 63%에 그치고 있고 세계 시장점유율(2013년)도 1.7%에 불과해 미국(31.8%) 일본(18.6%)은 물론 중국(2.9%)보다 뒤떨어진다. 그동안 우리 정부와 업계가 세계 시장 흐름을 얼마나 잘못 읽고 있었는지 반성케 하는 뼈아픈 대목이다.

센서는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 때문에 중소기업들이 제조하고 있다. 그런 만큼 수요 대기업과 유기적 관계가 없으면 첨단기술이나 생산설비 투자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대기업과 관련 중소기업이 협업하는 생태계가 조기에 형성돼야 하는 이유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이 생태계를 만드는 작업에 정부가 나서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점이다. 정부가 지원책을 마련하고 생태계를 만드는 과정에서 업계의 자발적인 혁신을 방해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건 되고, 저건 안 되고 하는 식의 규제 그물망이 쳐질 것이 뻔하다.

사물인터넷은 기업이 훨씬 앞서 있고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정부는 선제적으로 기존 규제를 사물인터넷 시대에 걸맞게 고쳐가는 일에 나서야 한다. 센서 등을 조기에 생산하고 출시하는 데 방해가 될 만한 규제를 찾아 없애는 것이 긴요하다. 국가 간 표준화 작업이 있다면 당연히 거기에 집중하는 게 옳다. 기업들이 사활을 걸고 매달리고 있으니 정부만 빠지면 어떻게든 잘될 것 같은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