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전 부동산 비중 줄이고 연금구조 촘촘하게 짜야"
경기 일산에 거주하는 심성욱 씨(59)는 당초 계획보다 2년 앞당겨 작년 말 은퇴했다. 불안한 마음은 없었다. 매달 300만원 안팎의 개인연금이 나오는 데다 63세부터는 월 130만원씩 국민연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어서다.

대전에 사는 ‘땅부자’ 우은재 씨(58)는 정반대다. 자영업을 하면서 목돈이 생길 때마다 토지를 샀는데 이게 발목을 잡을 줄 몰랐다. 관절염이 도져 일을 그만두고 싶지만 대출금 때문에 꾹 참고 있다. 은퇴 후 개인연금 수령액도 월 15만원에 불과하다.

◆“부동산 줄이고 연금 늘려야”

"은퇴 전 부동산 비중 줄이고 연금구조 촘촘하게 짜야"
평생 ‘월급쟁이’로 살아온 심씨는 10년 전부터 은퇴 계획을 세웠다. 거주 아파트 외의 주택을 팔고 개인연금 비중을 확 높였다. 퇴직 전 변액유니버설연금에 추가 불입한 것은 물론 퇴직금을 즉시연금에 넣어 월 100만원씩 나오도록 설계했다. 심씨는 “가급적 평생 받을 수 있는 종신형 연금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씨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부동산에 지나치게 편중된 자산구조 때문이다. 부동산만 14억1400만원어치를 갖고 있지만, 가격이 거의 오르지 않은 데다 요즘 들어 거래도 끊긴 상태다. 연금상품 가입액은 3200만원이 전부다. 사업하는 과정에서 빌린 대출금의 이자를 갚기도 빠듯하다.

전문가들은 은퇴하기 최소 5~6년 전에는 자산 구조조정을 반드시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동산 비중을 줄이고 종신형 연금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재무설계 전문회사인 포도재무설계의 이수원 상담사는 “은퇴 전에는 미래가치가 불확실한 토지 등 부동산을 정리하고 즉시연금에 가입하거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며 “만약 부동산에 관심이 많다면 오피스텔 등 고정수입을 올릴 수 있는 대안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여행 못가도 월 160만원 소요

한경이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와 공동으로 ‘은퇴 후 실제 생활비’를 계산한 결과 기초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월 160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초생활비 월 115만원 △건강검진비 연 60만원 △의료비 월 42만원 등을 더한 결과다. 이는 현재가치 기준이어서 물가상승률(2008~2010년 평균 연 3.5%)을 감안할 경우 30세인 사회 초년생이라면 65세 때는 월 533만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문제는 ‘기본 은퇴생활비’를 모으는 것도 쉽지 않다는 점이다. 30세의 신입사원이 우선 기댈 수 있는 제도는 퇴직연금과 국민연금이다. 만 60세 때 받게 될 퇴직연금(확정급여형·연 4.5% 이율 기준)은 월 120만원이다. 65세부터 받게 될 국민연금(월 234만원)까지 수령해도 미래가치로 환산한 기본생활비 대비 매달 179만원씩 부족하다.

이 부족분을 채울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개인연금 적립이다. 만 30세라면 매달 소득공제 한도인 34만원씩 넣되 불입액을 늘려나가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장경영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소득이 증가할 때마다 개인연금 불입액을 추가해 3층 연금구조를 튼튼하게 쌓는 게 최선”이라고 조언했다.

◆한경 로드쇼에서 생애재무설계를

성공적인 은퇴생활의 핵심은 재무계획이다. 한국경제신문은 오는 17일부터 전국 10개 도시에서 ‘2012 한경 머니&인베스팅 전국 로드쇼’를 개최한다. 독자들의 은퇴 및 자산설계를 돕기 위한 무료 강연이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100세 시대를 위한 자산관리와 총선 이후 투자전략 등을 제시한다. 작년 행사에선 총 5500여명이 참관해 성황을 이뤘다. (참가신청 : http://event.hankyung.com / 문의: 02-360-4785)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