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의 부실채권 규모가 약 22조 원에 달하고,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6조3천억 원은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19일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들의 부실채권 규모가 21조 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부실채권 16조4천억 원에 신용위험평가를 거쳐 추가 부실채권으로 분류한 4조6천억 원을 더한 것이다.

부실채권 21조 원은 은행들이 기업에 빌려준 총 여신 841조7천억 원의 약 2.5%에 해당한다.

여기에 하반기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실채권 9천억 원을 더하면 올 연말 은행권의 부실채권 규모가 21조9천억 원이 된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은 단계적으로 이뤄지는 기업 구조조정으로 이 가운데 6조3천억 원은 은행들이 결국 회수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들은 감독당국의 지도에 따라 13조9천억 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해야 하는데, 국제결제은행(BIS)의 `부도시 손실률'을 적용하면 이 중 45%는 손실을 보기 때문이다.

감독당국은 은행들이 부실채권 비율을 올해 말까지 총 여신의 1% 수준으로 감축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다만, 이 같은 손실 규모는 은행들이 당기순이익으로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한은은 예상했다.

손실 예상 부실채권 규모는 6조3천억 원이지만 채권 부실화에 대비해 쌓아 둔 충당금이 3조6천억 원이므로 실제 최종 손실 규모는 2조7천억 원이 된다.

은행들의 순이익이 올 상반기에만 1조9천억 원이었기 때문에 연간 순이익을 고려하면 최종 손실 규모를 흡수하고도 남는다는 계산이다.

한편, 이 같은 부실채권 증가와 추가 손실 발생 등으로 은행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BIS 자기자본비율은 13.74%에서 13.24%로 0.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말 세계 30대 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 13.14%보다는 높은 수준이라고 한은은 덧붙였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으로 은행들의 경영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오히려 부실 대출채권을 미리 정리해 위기대응 능력이 강해지고 자산건전성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