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본격적인 유동성 회수에 나설 경우 부동산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다른 투자상품에 비해 대출금액 규모가 큰 부동산 시장에서 금리인상은 통상 수요 감소로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2007년 이후 2년 가까이 서울 주요 지역의 거래가 급감하고 강남권 아파트시장이 안정세에 들어선 것도 여러 가지 규제 정책과 함께 당시 6% 가까이 치솟았던 CD금리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연말 이후로 부동산 시장이 강남 재건축 아파트를 시작으로 상승세에 들어서는 과정에서도 정부의 저금리 정책에 따른 유동성 공급이 큰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금리상승은 주택 매매가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정부의 유동성 회수에 따른 효과가 부동산 시장에서도 지역과 상품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가 동시에 진행됐던 2006년에도 대출 비중이 높았던 버블세븐 지역에서 집값 안정세가 두드러졌으며 그전까지 상대적으로 매매가 상승폭이 작았던 노원구 등 강북지역에서는 집값 상승세가 조금 더 이어졌다.

하지만 이번에 금리가 올라갈 경우 타격을 보는 곳은 서울 강남권보다는 최근 들어서야 매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비(非)강남권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곽창석 나비에셋 사장은 "금리가 조금 오르는 것은 시세를 좌우하지 않겠지만 고금리가 상당기간 지속된다면 서민 주거지에 더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강남권 등 서울 주요 지역의 경우 대출규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매매가가 오른 만큼 투자자들의 대출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아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도 적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재건축 시장보다는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재개발 시장이 더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소장은 "자산이 많은 계층보다 중간계층이 주로 매입에 나서는 지역 중 투자 성향이 강한 곳이 금리인상의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을 것"이라며 "두 가지를 종합하면 재개발 지역의 거래가 크게 침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아직 침체를 벗어나고 있지 않은 토지시장,상가시장과 지방 미분양 단지의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실수요보다 투자수요가 중심이 되는 시장인 만큼 수요자들의 심리가 위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부동산의 특성상 당장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지금이라도 투자에 나선다면 수요가 많은 지역의 환금성이 있는 상품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게 바람직하다. 서울 및 수도권의 역세권 소형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그 대상이다. 곽 사장은 "전세가 상승이 수도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고 수급불균형이 좀처럼 해소되기 힘든 만큼 수요가 몰리는 지역과 상품은 금리 상승세에도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