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군사적 타격' 운운하며 무모한 위협을 해왔다. 2차 핵실험을 감행한지 이틀만이다. 더 이상 정전협정의 구속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고,서해 5도 주변에서 무력도발까지도 강하게 시사했다. 어제 북한군 판문점대표부 대변인의 성명이란 것을 보면 표현 하나하나에서 도발의 강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어떤 식으로든 긴장고조 책동을 앞으로 더 할수 있다는 의지 또한 분명해 보인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국제사회까지 나서 한목소리로 우려를 표시하며 이성을 되찾고 대화에 나서길 촉구했지만 막무가내식이다. 철저하게 고립화의 외길로 가면서 '핵외교''공갈외교'를 하겠다는 의도로 밖에 달리 해석할 방법이 없다. 우리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를 핑계삼고 있지만 먼저 2차 핵실험을 벌인 것은 북이다. 미사일발사도 연일 이어지는 위협 행사에 다름아니다.

이렇게 상황을 나쁘게 만들수록 우리의 대응방안도 선택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국방 · 안보 · 외교 당국은 북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대응해 기선을 제압할 방안을 다시한번 확인하고,또 확인해야 한다. 이럴때일수록 한치의 틈도 없게끔 안보태세를 강화해야 한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않을 것이다. 주변 관계국들과 협조는 물론이고 특히 미국과 긴밀한 공조시스템을 유지 발전시키는 것은 더 이상의 도발을 억제하는 현실적인 힘이 될 것이다. 국방과 외교 부문의 실무를 책임지는 안보전문가들은 특별히 긴장감을 늦춰선 안될 국면이다.

실효성있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조치가 최대한 빨리 마련돼 시행되도록 국가적 외교역량도 총동원해야 한다. 유엔은 물론이고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적지않은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 제재에 적극 참여토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은 지금 핵실험과 미사일발사에다 영변의 핵 재처리 시설까지 재가동하기 시작했다. 그간의 국제 핵협상을 완전히 무력화,무효화하겠다는 의도다. 당장의 고비를 넘기는대로 북핵문제와 한반도안보에 대한 큰 전략까지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가 될 것이다. 이런데도 적전분열하듯 PSI문제 등을 놓고 서로 다른 주장이 마구 나와서는 곤란하다. 이점 제1야당인 민주당도 유념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