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외의 석유가스와 광물자원 개발사업에 투자할 1조원 규모의 민관합동 펀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그간의 해외자원 펀드에 비해 규모가 훨씬 큰데다 민관합동으로 투자하는 것이어서 잘만 운용하면 효율적인 해외자원 확보 모델이 될 수도 있겠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속한 경기침체로 유가는 하락했고 유망 광구의 가치도 크게 떨어졌다. 산업용의 다른 자원가격 역시 대개 하락해 우리로서는 해외자원 개발의 호기(好機)를 맞고 있다. 그러나 관련 기업들은 금융위기에 따른 자금난으로 투자재원 확보에 애를 먹는 게 현실이다. 정책당국도 저유가가 계속되면서 불과 1년 전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로 치솟던 때의 절박했던 상황을 그새 잊어버린 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느슨함을 보인 것도 사실이다. 이웃 중국이 에너지 등 자원값이 쌀 때 전세계를 누비며 장기물량 확보에 나선 것과 대조적이다.

물론 우리도 해외자원개발에 노력을 전혀 기울이지 않았다는 얘기는 아니다. 지난 2월 석유공사가 페루 최대의 유전개발회사 지분 50%를 해외금융시장에서 조달한 자본으로 사들이는 등 위축된 국제 자원시장을 잘 공략한 사례도 있다. 그러나 이번 펀드 조성을 계기로 좀더 적극적으로 나설 때가 됐다. 세계경기가 회복국면에 들어선다는 공감대가 퍼지면 에너지와 주요 자원값의 급등은 보나마나다. 국제금융시장에 풀린 막대한 유동자금도 언제든지 자원시장으로 몰려 가격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 그때는 늦다.

민관합동의 대형펀드인 만큼 광구의 직접투자뿐 아니라 지분이나 수익권 확보,자원개발기업 M&A 등 투자방식도 다양하게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운용사를 복수로 해 경쟁구조를 갖추고 투자의 포트폴리오도 다양하게 유도하겠다는 방침은 그런 맥락에서 지켜볼 만하다.

이번 펀드조성이 해외자원개발 노력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박차(拍車)를 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때마침 이명박 대통령이 중앙아시아의 자원부국인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방문에 나섰다. 정부의 자원외교와 펀드운용의 연계방안까지 강구돼야 한다. 에너지와 자원같은 중요한 사안은 덜 다급할 때 해법을 모색해놓는 것이 현명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