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연평균 기온이 지난 96년간(1912~2008년) 급속한 도시화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1.7도나 올랐다는 기상청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비슷한 기간 전 세계 평균기온 상승폭(0.74도)의 2배를 넘는다는 점에서 걱정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겨울은 22~49일 짧아져 봄이 일찍 찾아온 반면 여름은 13~17일이나 길어졌고 겨울에 눈보다 비가 내린 날이 많아졌다고 한다.

기상청은 지금 추세대로 온난화가 계속된다면 2100년께 제주도와 울릉도 동해안 남해안 지역에서 겨울이 사라지고 아열대 기후대로 들어설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반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현재의 2배에 달하면서 연평균 기온이 무려 4도나 오르고 연강수량도 17%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강수량의 지역별 편차가 심화되면서 가뭄 호우 등 기상이변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고 주변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오르면서 태풍의 위력도 배가될 수 있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기온 급상승의 이유가 도시화와 높은 인구 밀집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라는 설명이고 보면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기 어려워 보인다.

더구나 한국은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9위인데다 그 증가율이 1위인 만큼 국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말께 강력한 구속력을 지닌 온실가스 감축 국제협정이 체결되고 우리가 의무감축국으로 지정될 가능성도 거론되는 마당이어서 걱정이 커지고 있다. 그렇게 되면 2012년부터 우리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짊어지게 된다. 이는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면서 기업들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반도의 급속한 온난화와 환경을 중시하는 국제적 경향을 감안할 때 우리도 탄소배출권 할당과 배출권 거래제 도입 등을 피해갈 수 없다. 다만 현실을 도외시한 채 무리하게 밀어붙이는 식의 도입은 지양(止揚)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정한 기준을 정해놓고 강요하기보다는 과감한 인센티브를 도입해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에너지 과소비에 물든 인식을 바꾸는 등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 우선 기업과 국민의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데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