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과학기술 강국은 글로벌 중소기업 육성이 전제가 돼야 한다.

전국에 걸쳐 그물망처럼 촘촘하게 연계된 '한국형 테크노파크(TP)'가 글로벌 중소기업을 잉태할 산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TP는 지역 대학의 고급 두뇌와 기업의 사업화 능력을 결합할 목적으로 설립된 산업기술단지. 재단법인 형태로 운영되며 지방자치단체와 대학 · 연구기관 · 기업체 등이 참여한다. 우리나라는 1998년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되면서 TP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올해로 태동 11년을 맞은 '한국형 TP'의 과거와 현재를 짚어보고 미래를 내다본다.

'강한' 중소기업 육성하는 풀뿌리 경제 중심축

지난 1997년 지식경제부는 송도 · 경기 · 대구 · 경북 · 충남 · 광주의 6개 시범지역을 선정하면서 TP 조성사업에 들어갔다. 이후 2000년 부산 · 포항에 2개 민간 TP, 2003년 강원 · 충북 · 전북 · 전남에 4개 TP,2004년 경남 · 울산 2개 TP,2005년 경기대진,서울에 2개의 민간 TP를 만들었다. 또한 2008년 3월에는 대전TP가 지식경제부로부터 추가 지정받아 운영되고 있다. 이로써 전국에만 민간 TP 2곳을 포함해 총 17곳이 포진해 있다. 올해 안으로 제주도에도 세워질 예정이다.

TP사업 집행 및 관리를 총괄하는 '조타수' 역할은 2006년 출범한 ㈔한국테크노파크협의회(회장 김학민 www.technopark.kr)가 맡아 하고 있다.

현재 17개의 TP에 근무하는 인원은 총 1339명. 이 중 석박사급이 649명으로 전체의 50%에 달할 정도로 각 지역 내에서 싱크탱크(think tank)들이 모인 '두뇌공장' 역할을 하고 있다. TP에 입주하고 있는 기업은 현재 1220개이며, TP당 평균 72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총 고용인원은 1만1924명이고,업체 평균 9.73명으로 초기 단계의 기술기업 중심으로 입주하고 있다. 그동안 TP는 정부와 지자체 간 연결고리로서 산업정책과 기술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해 왔다. 기술 인프라 조성과 기업지원 종합 서비스,지역 기술혁신체제와 지역 내 산 · 학 · 연 네트워크 구축 등 테크노파크 1단계 사업은 이미 종료됐다. 작년부터 시작된 2단계 사업은 2012년까지 진행된다.

지난 1단계 사업이 기반 시설 구축 등 하드웨어 위주였다면 2단계 사업은 기업지원 서비스를 중심으로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소프트웨어적인 성격이 강하다. 전국 TP에 온오프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업지원 서비스의 거점을 마련하고,지역 내 기업지원 서비스를 종합한 원스톱 지원 프로세스를 구축해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통합 플랫폼 사업으로 인해 전국이 동일한 서비스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기업지원 이력을 통합 관리하게 된다. 기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테크노파크 임직원과 TP와 협약한 전문 컨설턴트의 직무 능력을 끌어올려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한편 '한국형 TP 모델'은 중동과 아프리카,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에도 수출된다. 지난해 충남TP 등을 방문해 한국형 TP 모델을 연구했던 개발도상국들은 "한국형 TP가 자국에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며 잇따라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한국형 STP(science techno park) 모델의 해외 전수사업도 본격적인 닻을 올렸다. 대덕연구개발 특구지원본부와 한국테크노파크협의회는 지난 13일부터 24일까지 2주간 국내외 STP 정책 입안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STP 모델을 전수 교육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단지조성 개념에서 출발한 한국형 TP가 '혁신'을 추진하는 지역의 거점기관으로 진화하면서 해외에도 롤 모델이 되는 등 첨단산업 육성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