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재단이 지난 27일 제주 서귀포 칼호텔에서 마련한 '한국경제의 외신보도'를 주제로 한 특별 세미나. 외신과의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준비한 자리였지만 논쟁이 오가면서 분위기가 썰렁해졌다.

"한국 정부에 분명 반론권을 줬는데도 왜 자꾸 우리의 분석이 잘못됐다고 어필하느냐."(브렛 콜 영국 이코노미스트 기자)"우리는 외신이 현상을 여러가지 각도에서 보는 것 자체를 문제 삼는 게 아니다.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적극 대응하는 것뿐이다. "(이종구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최근 우리 정부가 외신의 위기설 보도에 일일이 반박하고 나오니까 외신들로선 기분이 좋을 수가 없는 모양이다. 이코노미스트의 콜 기자뿐만 아니라 다른 외신 기자들도 "한국 정부가 너무 방어적이다. 조금 대범하게 대처를 하는 게 좋을 것 같다(최상훈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기자)"거나 "외신이 왜곡됐다고 주장하는 한국 정부의 시각이 왜곡돼 있다(도널드 커크 CBS 라디오뉴스 기자)"며 외신 대응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 10년간 한국경제에 대한 외신의 보도 태도는 부정적인 쪽으로 기울어 있다. 반현 인천대 교수는 보고서를 통해 "1997년 이후 부정적 논조를 보인 기사가 21.5%로 긍정적인 기사(14.5%)보다 훨씬 더 많았다"며 "특히 한국경제가 위기였던 1997년(긍정적 2.6% 부정적 14.8%)과 2008년(긍정적 4.6% 부정적 30.9%)에는 부정적인 보도 일색이었다"고 주장했다.

반 교수는 "이 같은 외신보도는 외국의 정치 지도자,금융기관,투자가,기업가,신용평가기관 등 의사결정권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또 다시 국내 언론을 통해 우리 국민들에게 확대 재생산되기에 문제의 심각성은 크다"고 덧붙였다.

김성해 언론재단 연구위원도 "외신들은 일단 한국 경제를 '제도적 결함'이나 '정책실패'라는 프레임에 넣고 바라본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한국정부는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고 외신 보도의 생산자인 외신 기자들과 제대로 된 접촉조차 없었다는 게 연구진들의 분석이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정부가 외신 대응을 제대로 한다면 제주 세미나는 값진 모임으로 기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