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간 FTA(자유무역협정) 협상 타결(妥結)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한다. 5년내 공산품관세의 완전 철폐, 자동차 표준 등 대부분의 핵심쟁점들에 대해 양쪽이 합의를 봄에 따라 오는 23~24일 서울에서 열리는 8차협상에서는 타결 선언이 확실하다는 전망이다.

타결이 된다면 우리나라로서는 또 하나의 거대경제권과의 FTA라는 점에서 경제적 의미가 상당하다. 사실 EU는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시장이다. 지금도 미국에 버금가는 선진시장인데다 EU 가입국들이 늘면서 무역과 투자 등에서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로서는 협상만 타결됐을 뿐 아직 양국 의회에서 비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한 · 미 FTA에 한 · EU FTA 협상 타결이 어떤 형태로든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등 적잖은 지렛대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정부가 한 · 미 FTA만큼이나 공을 들였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EU로서도 동북아시장의 효과적인 공략을 위해 한 · EU FTA가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가입국들의 이해가 다양하고, 또 협상 중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들이닥쳐 자칫 역내반발 등이 나오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했지만 그런 전략적인 판단이 더 크게 작용한 것이다.

이렇게 양쪽이 윈-윈할 수 있는 한 · EU FTA는 시기적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우려되고 있는 보호무역 억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엊그제 런던에서 열렸던 세계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모든 형태의 보호주의를 배격하자고 합의한 상황에서 한국, EU가 이를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기 때문이다.

협상 타결이 선언되면 그 다음 과제는 하루라도 빨리 FTA가 발효(發效)될 수 있도록 양쪽 모두 정치력을 발휘하는 일이다. 국내적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분야 등에 대한 필요한 보완책은 신속히 강구해야겠지만 소모적 논쟁으로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될 것이다. 지금의 한 · 미 FTA가 보여주듯이 시간을 질질 끌면 다른 정치적 변수들이 튀어나오고, 그러다 보면 FTA 효과도 그만큼 반감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한 · EU FTA가 하나의 성공모델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