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어제 국세청장 경찰청장 국정원장 주미대사 등에 대한 인사를 단행함에 따라 앞으로 이어질 개각(改閣)에 대한 관심도 급격히 커지고 있다. 설 이전에 할지, 그 후에 할지를 놓고 설왕설래가 있지만 경제팀을 비롯한 주요 부처에 대한 개각도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로 굳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른바 권력기관에 대한 인사를 서둘러 마무리한 것은 잘한 일이다. 특히 세정을 다루는 국세청의 경우 전 · 현직 국세청장 간 인사청탁 추문은 참으로 민망하기 짝이 없는 것으로 이를 그대로 놔두고는 국민의 신뢰를 도저히 회복하기 어렵다. 앞으로 조직개편 등 국세청의 대대적인 쇄신작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개각의 경우도 불확실성이 오래 가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정부 스스로 비상경제정부를 내세울 만큼 중대한 시기이고 보면 위기극복에 적합한 인사기준이 무엇인지를 따져 빨리 매듭짓는 것이 최선이다.

우선 인사기준과 관련해서는 정권출범 때의 인사논란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돌이켜보면 가장 힘을 받을 수 있는 정권 출범 1년간 정부는 적지않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여기에는 인사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이 작용한 탓도 적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이런 일이 또 일어난다면 위기극복은 그만큼 어려울 수밖에 없다.

특히 경제팀의 경우 시장신뢰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현 경제팀의 공과에 대해선 여러 평가가 있을 수 있지만 정부와 시장간 소통에 문제가 적지않았다는 지적에는 인사권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정부 말대로 전대미문(前代未聞)의 위기를 빠른 시일 내에 극복하려면 정부 역할이 중요한데 시장이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면 그것보다 더 큰 문제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인사기준이 명확히 섰다면 질질 끌 이유가 없다. 정부가 하루가 멀다하고 경제상황을 점검하고 대책들을 내놓고 있지만 인사문제로 어수선한 분위기에서는 무엇하나 제대로 추진되기 어려울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미 각 부처는 개각 때문에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고, 시중에서는 하마평들이 무성하다. 하루라도 빨리 일을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급선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