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들이 금리경쟁에서 상품경쟁으로 나서면서 금융백화점과 선택적 금융상품 운용시대가 앞당겨지고 있다. 요즘 금융권의 상품개발 경쟁은 가히 점입가경에 비유될 만하다.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 우리 신한(조흥) 하나 외환 기업 씨티 SC제일 등 8개 은행이 최근 2개월간 내놓은 신상품 수는 50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일 기준 하루에 한 개씩이다. 개별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이 이 기간 중 가장 많은 11개의 상품을 출시했다. 이어 기업은행이 7개의 상품을 내놓았으며 국민 우리 하나 외환은행은 나란히 6개의 신상품을 선보였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증권 등 비은행권 분야도 비슷하다. 수신 여신 펀드 등에서 신상품 출시경쟁이 심한 곳은 대출 분야다. 그 중에서도 단연 중소기업 및 '소호'(개인사업자) 대출상품 분야가 가장 치열하다. 우리은행은 하이테크론 판매네트워크신용대출 IT구매자금대출 등 3개의 중기 전용 대출상품을 잇따라 선보였다. 하나은행이 2개,외환은행이 2개,기업은행이 4개씩의 중기대출 상품을 출시했다. 수신 쪽에서는 예금 펀드 카드 보험 등이 연계된 퓨전형 금융상품 개발경쟁이 치열하다. 앞으로 금융영역 간 파괴를 통해 금융산업의 효율을 증대시켜 나간다는 정책당국의 기본 방침을 감안하면 퓨전형 금융상품 개발은 더욱 심화·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권이 이처럼 경쟁이라도 하듯 신상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것은 은행 간 영업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비슷한 상품을 갖고 금리우대,부가서비스 등으로 고객유치 경쟁을 해왔지만 앞으로는 이 같은 방식이 통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홍영란 국민은행 서강지점장은 "급변하는 금융환경과 갈수록 다양화·세분화하는 고객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상품을 제때 만들어야 영업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며 "은행 영업경쟁 양상이 '양(量)에서 질(質)'로 바뀌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유신 굿모닝 신한증권 부사장도 "최근 국내 금융회사 간의 신상품 개발을 통한 영업전략은 우리보다 앞서간 선진국들의 경험을 볼 때 금융백화점 시대와 선택적 금융상품 운용시대로 귀착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제 재태크 생활자들도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 금리의 높고 낮음 뿐 아니라 금융상품 조건이나 내용도 선택해야 하는 시대가 온 셈이다. 무엇보다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는 금융상품의 장단점을 잘 살펴 금융상품에 대한 지식을 높여야 한다. 물론 금융회사들의 PB나 앞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는 금융상품 컨설턴트들의 자문을 구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재테크 생활자들이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동일한 맥락에서 금융상품을 가입할 때 보다 신중하고 중장기적인 안목을 가져야 한다. 특히 다른 나라에 비해 금융상품 이용주기가 짧은 우리 재테크 생활자 입장에서는 이 같은 안목은 매우 중요하다. 요즘처럼 중도환매 수수료가 많은 시대에서 잦은 금융상품 교체는 곧 손실로 연결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이 밖에 자신에게 맞는 금융상품만의 포트폴리오를 짜야 할 시점이다. 개인의 생명주기와 소득여건을 감안해 적합한 금융상품을 선택·가입하고 탈퇴시기를 정해 생존기간 캐시플로(자산-부채상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히 조정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