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블루오션으로 간다!

캐나다의 서커스단 시르크 뒤 솔레이유에는 코끼리가 없다.


서커스의 상징인 동물공연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르크 뒤 솔레이유는 지난 1984년 창업 이후 90개 나라에서 무려 5000만명의 관객을 끌어 모을 정도로 큰 성공을 거뒀다.


엄청난 비용이 드는 동물공연을 없앤 대신 미국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보는 듯한 예술성과 세련미를 더해 서커스 고객을 어린이에서 성인으로 확대하는 데 성공했다.


시르크 뒤 솔레이유의 성공은 블루오션 전략(Blue Ocean Strategy)의 전형적인 사례다. 세계 3위의 시멘트업체인 멕시코 세멕스가 지난 90년대 시멘트를 생일선물로 만들어 멕시코의 주거문화를 바꾼 것 역시 블루오션 개척의 또 다른 예다.


사실 성공하는 기업 중에는 치열한 경쟁시장(레드 오션)의 승자라기 보다는 경쟁자가 없는 새로운 시장(블루오션)을 창출한 사례가 더 많다.


세계 경영계가 블루오션 열풍에 싸여 있다.


프랑스 인시아드경영대학원의 김위찬 교수와 르네 마보안 교수가 지난 90년대 중반부터 주창해오고 있는 이 블루오션 전략론이 미국을 거쳐 전세계에서 빠른 속도로 그 뿌리를 내리고 있다.


두 교수가 올 2월 미국에서 출간한 첫 단행본 '블루오션 전략'이 100여개 나라에서 번역되며 세계적 베스트셀러로 올라선 게 이를 말해준다.


국내에서도 LG그룹이 블루오션 전략을 도입키로 공식 선언했고 수많은 기업과 금융회사,공공기관들이 블루오션 전략을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블루오션 전략은 경쟁자가 우글거리며 피 흘리는 붉은 바다(레드오션)에서 벗어나 경쟁자가 없는 새시장인 푸른 바다를 찾아내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경쟁을 잊어야 새 시장이 보인다'는 명제는 그래서 경영전략의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송대섭 한국경제신문 가치혁신연구소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