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는 국내 수리조선업체의 3분의 1이 밀집해있으나 규모가 영세한데다 수주방식도 낙후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제도적 뒷받침마저 제대로 안돼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7일 한국은행 부산본부가 발표한 `부산지역 수리조선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따르면 부산에는 국내 수리조선업체의 37%인 416개가 밀집해 있고 원자재 조달(85.1%)과 금융(98.6%), 기술개발(93.9%), 인력조달(95.6%) 등 주요 경영활동이 지역내에서 해결돼 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한은 부산본부가 연간 매출액 5억원 이상인 54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업의 형태는 개인기업(59.3%) 또는 중소기업(37%)이었고 종업원수는 평균22명, 자본금은 12억6천만원, 매출액은 29억8천만원으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했다. 또 수리대상 선박은 원양어선(28.7%)과 연안어선(16.7%), 일반 화물선(21.3%)이주종을 이룬 반면 고부가가치 특수선은 비중이 매우 낮았다. 특히 수주방법에 있어 기존고객의 소개(68.5%)와 협회나 대리점을 통한 간접거래(9.3%)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자체 홍보나 판촉을 통한 경우는 20.4%에 불과했으며수주관련 상담활동도 전화에 의한 수작업 방식으로 진행돼 계약이 지연되는 등 수주시스템이 낙후돼 있다. 이와함께 수리조선 전문단지가 없는데다 선박수리용 부품에 대한 관세부과로 인해 비용이 높아져 국내외 선사들이 관세가 없는 다른 나라의 수리조선소를 더 선호하는 등 제도적인 뒷받침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한은 부산본부는 분석했다. 한은 부산본부는 수리조선업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감천항이나 부산신항 등에 수리조선 전문단지를 조성하는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해양레저선과 초고속선, LNG선 등 고부가 선박의 수리기술력 확보를 위한 기술센터 설립,수리조선용 부품에 대한 관세면제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lyh9502@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