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IT 신산업 육성에 적극 나설 모양이다. 진대제 장관이 지능형 로봇 등 9대 신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면서 정통부 조직도 이에 맞춰 대대적인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산업 육성이 산자부 등과 겹친다는 비판도 있지만 국가적 과제라고 본다면 이상할 것도 없다. 반도체 휴대폰을 이어갈 9대 신산업을 명확히 제시한 것과 이를 위해 과감한 조직개편에 나서겠다는 것에서 오히려 기업인 출신 장관의 시각이 신선해 보이고 또 기대도 갖게 한다. 하지만 정통부의 주된 업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통신서비스 시장이 불안에 휩싸여 있고 불확실성 또한 증대되는 상황이고 보면 본말이 전도된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을 감출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최초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던 두루넷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데 이어 제3 국제전화사업자 온세통신이 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제2 초고속인터넷사업자 하나로통신은 사실상 경영진 교체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 뿐이 아니다. IMT-2000 서비스는 사실상 연기된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동통신 1위 사업자 SK텔레콤은 지금 경영권 위협에 직면해 있고, 3위 사업자 LG텔레콤은 올해가 최대의 고비라며 통신시장 3강 정책을 분명히 해줄 것을 주문하고 있다. KT는 유선시장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으면 희망이 없다고 보고 유무선 통합시장에 뛰어들겠다고 나섰지만 정통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과잉투자와 주파수 경매에 따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서구 통신서비스 회사와는 대조적이라고 평가를 받던 불과 1년여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이 모두가 그간 추진해 왔던 정책과는 무슨 인과관계가 있는지, 개선이 필요하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과 비전 제시가 있어야 한다. 통신서비스와 관련 인프라는 장비 및 부품, 그리고 지금 정통부가 육성하겠다고 나선 9대 신산업과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