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최고 입법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엊그제 개막된 제10기 1차 회의를 시작으로 5년동안의 새 회기에 들어갔다. 특히 이번 회의는 리펑 전인대 상무위원장과 주룽지 총리가 퇴진하고 후진타오 당총서기와 원자바오 총리내정자 등 4세대 지도층이 전면에 나설 뿐 아니라,대대적인 행정기구 개편과 국무위원 교체를 추인할 것으로 예상돼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이 세계 6위의 경제대국으로 급성장한데다 경기둔화로 고통을 겪고 있는 주요 선진국들과는 대조적으로 고도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이같은 관심은 당연한지 모른다. 중국이 우리의 최대 수출·투자대상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한 예로 중국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7%로 잡고 적자규모가 3천1백억위안이 넘는 사상 최대의 적자예산을 편성했는데,이는 미·이라크전 임박과 미국경기 침체로 위기감이 고조된 아시아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우려되는 측면도 적지않다. 우선 중국내 유통과 대외무역을 총괄하는 상무부가 신설되면 대한(對韓) 통상압력이 가중되지 않을까 걱정된다. 그러잖아도 중국측은 지속적인 무역수지적자를 핑계로 최근 우리 수출품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무더기로 제기하고 있는 형편이다. 주룽지 총리가 지적한대로 부동산 거품, 생산설비 과잉, 부정부패 심화 등에 따른 부작용도 간과할 수 없다. 당장 우리의 주력 수출품인 철강 석유화학 등에 대한 중국의 과잉투자는 문제다. 이대로 가면 이들 제품의 중국수출 위축은 물론이고 전세계적인 공급과잉 가중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하이 지역의 경우 건축경기 과열로 사무실 공실률이 50%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가뜩이나 심각한 중국의 금융부실을 더 악화시키기 쉽다. 중국정부도 문제해결을 위해 국유자산감독위 은행감독관리위를 신설하는 등 나름대로 애쓰고 있지만, 우리도 동향을 예의주시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