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와 기상청 등 과학기술 관련부처가 정부 기구내에 꼭 필요할 만한 곳에서는 정작 제외돼 있어 이유 있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기구는 국가안전보장회의(이하 안보회의). 안보회의법에 따르면 이 기구는 대통령과 국무총리, 통일부 장관, 외교통상부장관, 국가정보원장과 대통령령이 정하는 약간의 위원으로 구성돼 '국가 안전보장에 관련되는 대외 정책과 군사 정책, 그리고 국내 정책 수립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응하게' 된다. 그러나 북한 핵 문제를 포함, 원자력 안전 문제 전반에 대해 가장 전문적인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과학기술부의 명함을 안보회의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특히 북한 핵 문제가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관심사로 떠오른 시점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오늘날의 과학기술이 군사용과 민수용으로 두루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적지 않고 핵심 기술의 유출이 안보는 물론 국가 전체에 심각한 손해를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단 북한 핵 문제가 아니더라도 과학기술 정책 및 기술 개발을 총괄하는 과기부가 국가안보회의에 참여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지적한다. 기상 예보와 분석을 전담하고 있는 기상청이 중앙안전대책위원회(중앙위원회)에서 소외된 것도 선뜻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재난관리법에 따르면 국무총리 소속하에 중앙위원회를 두고 위원은 재정경제부장관, 교육인적자원부장관, 외교부장관, 국방장관 등 17개 부처의 장을 위원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정작 대부분 재난의 원인이 되는 기상을 담당하는 기상청은 제외했다. 물론 상급 기관인 과학기술부의 장관이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참가하고 있지만 기상과 관련한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정보 전달에는 미흡할 수밖에 없다. 안명환(安明煥) 기상청장은 12일 "기상은 일상 생활은 물론 경제.산업.군사 등 모든 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상정보는 전시(戰時)에는 비밀로 분류될 정도로 중요한 정보"라고 소개했다. 즉 모든 부분에 가장 밀접히 관련돼 있지만 그 중요성에 대한 평가는 너무 낮다는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지일우기자 ci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