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우리 국민 모두 명실공히 하나가 되는 감격의 체험을 한 해였으며,새로운 변화의 큰바람을 느끼게 한 한해였다. 이제 새해에는 우리 사회가 또 한번의 새로운 시험대에 오르게 될 것이 예상되며,세계화와 정보화의 도도한 물결 속에서 생존을 위한 경쟁을 계속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됐다. 국가경쟁력이 대학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학이 경쟁력을 갖게 될 때 세계화 정보화에 맞는 우수한 인재들이 배출되고 아울러 나라 경쟁력이 신장된다. 2001년 기준 스위스 경영개발원 발표의 국가경쟁력 순위를 보면 우리나라가 세계 49개국 중 28위이며,특히 우리나라 대학들의 경쟁력은 48위 수준이라는 것이다. 참으로 어둡고 부끄러운 일이다. 현재 우리나라 고등교육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기에는 너무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교육체제의 획일화,대학의 폐쇄성,경쟁의식 부족,열악한 연구여건,느슨한 학사운영,대학재정의 빈곤,전임교원의 부족,각종 행정규제,그리고 이제 더욱 적극적으로 풀어나가지 않으면 안될 사안으로 대학의 자율화,교육프로그램의 특성화,구조조정,대학간 역할분담(연구중심,일반대학),정보화 투자,대학교육의 세계화 문제 등이다. 대부분의 역대 대통령들이 교육, 특히 고등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 교육대통령이 되겠다고까지 큰소리쳐 왔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아직도 왜 이렇게 문제점 투성이인가? 이 산적한 문제점들,중요 사안들을 단시일에 해결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최고 통치권자를 비롯한 관계 책임자들과 모든 대학인들의 대학현안을 풀기 위한 일관된 컨센서스와 실천의지다. 대학이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의 자율권이 적극 보장돼야 한다. 그동안 정부는 자율권을 부여했을 경우 생겨나는 부작용을 걱정해 실제로 자율권 부여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그러나 부작용이 두려워 자율권을 제한함에 따라 치르는 대가가 훨씬 더 크다면 그것은 문제다. 대학입장에서는 학과설립 및 정원책정의 자율권,학생선발의 자율권,납입금 책정의 자율권 등이 요구의 핵심 사안이다. 세계 학계를 움직이는 미국 명문 사립대학들의 뒤에는 그들에게 특유하게 부여된 대학운영의 자율권이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만약 일부 대학의 도덕적 해이성과 불투명성 때문에 일률적인 자율권 부여에 어려움이 있다면,엄정한 평가를 통해 학사관리와 대학운영이 우수한 대학을 10여개 선정해 우선 시범적으로 시행하고,그 성과를 보면서 전반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우리 대학들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세계무대에 당당히 나서는 특성화된 대학으로 변화해야 한다. 환골탈태의 신념으로 과감하게 개선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 각 대학의 설립이념과 사명을 보다 명확히 하고 그것에 잘 부합하면서 시대가 요구하는 전공 혹은 학과를 선택해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특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1991년 이후 연구중심 대학의 3분의 2가 구조조정을 시행했고,세부학문 영역으로까지 대학간 모방에서 차별화를 통한 선별적 수월성 전략을 다각적으로 구사하고 있다. MIT대학의 경우는 5개 단과대학만을 가지고 선택과 집중의 정신을 구현하면서 생명과학,나노기술,차세대 컴퓨터 시스템,커뮤니케이션 엔지니어링,환경부문 등을 21세기의 핵심기술분야로 선정해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이제 새해 새 정부 들어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혁신과 발전을 기대한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의 깊은 뜻을 되새기면서 제한된 임기동안에 모든 것을 다 끝내고 결실을 얻겠다는 단기적 생각은 바람직하지 않다. 장기 비전과 계획아래 발전의 고속열차가 쾌속도로 질주할 수 있도록 레일(rail)을 튼튼히 그리고 착실히 깔겠다는 생각이 중요하다. 새해를 맞으며 대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적극적으로 그리고 시급히 모색해야 할 시점임을 다시 한번 생각한다. 이제 우리 모두가 일관된 의지로,책임을 지고 각자의 위치에서 과감하게 해결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지혜를 모아 큰 그림을 그리면서 지금 할 수 있는 것부터 곧바로 실행에 옮기는 용기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