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 개발에 관한 서울시 당국의 이런저런 구상들은 관심사임에 틀림없다. 강남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 투기바람이 한바탕 휩쓸고 지나간 뒤끝이라 더욱 그렇다. 우리는 강북 개발 그 자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생각은 전혀 없다. 강북과 강남이 균형있게 발전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물론이고, 입지여건에 맞게 차별적으로 재개발하겠다는 구상도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개발을 통해 강북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덜어지고 동시에 주택공급이 증가돼 집값도 안정된다면 그보다 더 좋은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명분 있고 시급한 과제라고 해도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추진하느냐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다. 강북 개발처럼 이해관계자들이 많고 여러가지 부작용이 우려되는 사업일수록 먼저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마땅하다. 특히 개발규모 개발방식 재원조달 이주대책 등이 핵심사항이다. 우선 대단위로 또는 소규모지만 동시다발적으로 개발사업을 벌이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직주형 주거형 생태형 등 유형별로 개발한다고 해도 일정규모 이상이면 건물층고 용적률 건폐율 등을 차별화하기 어려워지는데다,주민이주에 따른 전세난 유발 등 적지않은 부작용이 우려된다. 공영개발방식의 도입여부도 관심거리다. 서울시는 주거형 개발은 기존의 재개발사업 형태로 추진하되,생태형과 직주형 구역엔 재작년부터 시행된 도시개발법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는 공영개발을 비롯한 다양한 개발방식을 도입하기 위한 조치로 이해된다. 그러나 생태형 구역이라면 몰라도 도심지에서 가까운 직주형 구역의 공영개발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개발구역내 토지수용에 대해 상당한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가지 서울시가 유의해야 할 점은 토지수용과 도시기반시설 구축에 소요되는 자금부담으로 인해 원래 구상과는 달리 '고밀도'개발을 초래했던 과거 신도시의 실패경험을 되풀이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테마 신도시' 운운하며 강북 개발의 청사진이 너무 요란한 것도 부담스러운 일이다. 논의만 무성하고 정작 재개발 사업은 용두사미식으로 흐지부지될 경우 강북지역의 집값과 땅값이 들먹이는 등 후유증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아도 연말 대선을 앞두고 강북 개발 추진이 불필요한 오해를 낳을 소지가 큰 만큼,부도심 개발을 통해 서울시를 다핵구조로 바꾼다는 기존의 도시계획에 맞춰 보다 치밀하고 현실성 있는 재개발 계획을 세우는 것이 급선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