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내년 인력을 현 수준에서 동결하고 비용을 10% 절감하며 상시적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LG SK 현대자동차 등 다른 대기업들도 비용지출을 줄이고 현금흐름 중심의 경영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주요 그룹들이 계열사의 내년 사업계획 작성을 위해 마련한 이같은 가이드라인은 한마디로 내년 경기전망이 지극히 불투명하다는 점을 반증한다. 민간 경제연구소의 경제전망도 대부분 당초 예상보다 어렵다는 쪽이다. 세계경제가 동반침체할 가능성이 높고,국내 경제성장률은 5%대,경상수지는 적자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마저 내놓고 있다. 물가와 금리의 상승압력도 높아져 기업환경이 몹시 어려워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 만큼 대기업들의 긴축경영은 불가피한 선택일 수밖에 없다고 본다. 대기업들이 이렇게 허리띠를 졸라매는 긴축경영을 할 경우 납품업체 등 중견·중소기업의 사정이 더욱 어려워질 것은 자명하다. 경제성장률 저하와 실업증가 등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더욱이 급증한 가계대출과 부동산 거품이 붕괴되면 경기가 급락할 소지가 없지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내년 경제는 그야말로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판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내년 경제운용에 대해 지금부터 충분한 대비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내년 예산을 긴축적으로 편성했지만 연말 경기가 급격히 하락하기라도 한다면 재정운용 방향을 다시 손질해야 함은 물론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금리인상 문제만 하더라도 가계대출과 부동산 거품만 겨냥하다가는 큰 화를 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 금리인상은 기업의 비용증가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나마 다행스런 것은 대기업들이 정보통신 3세대 휴대폰 등 성장잠재력이 높은 미래 유망산업과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다소 늘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대목이다. 그러나 투자재원을 기업내부에 쌓인 유보자금만으로 국한하겠다고 밝히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 얼마나 활기를 띨 수 있을 지는 지극히 의문스럽기만 하다. 그런 점에서 투자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한층 강화돼야 할 것이다. 경제특구 설치나 외국인 전용공단 건설 등 외자를 유치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업의 투자의욕이 극히 부진하다는 점을 깊이 헤아려야 한다. 성장잠재력 확보는 물론 고용확대 측면에서도 투자여건 개선은 더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