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쌀 감산정책과 태풍 등 기상급변으로 인한 농산물 피해급증 등을 감안, 장기적인 식량 확보 대책의 하나로 유전자조작(GMO) 농축산물을 개발해 4∼5년 내 상품화할 방침이다. 이같은 정부의 계획은 그러나 GMO 농축산물의 인체 위해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나라 안팎에서 커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향후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김동태 농림부 장관은 11일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개최된 서울 프라자호텔 조찬 간담회에서 "태풍 '루사'의 영향으로 올해 작황이 좋지 않아 쌀 수확량이 평년보다 5∼7%(2백만섬가량) 줄어들 것 같다"며 "식량확보 전략상 GMO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 수확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나는 기능성 농작물을 포함한 50종류의 GMO 농축산물을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GMO 농축산물이 환경이나 인체 등에 해로운지 여부를 철저히 규명해 상용화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감대를 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농진청이 개발 중인 GMO 농축산물중 바이러스 저항성 감자 등 2종은 유전자조작 안전검사(대량생산 및 병충해 저항성 등을 극대화하도록 전환된 유전자가 인체에 해를 미치는지 판단하는 최종 검사)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GMO 농축산물의 무해성은 동물 실험을 통해 입증됐으나 인체에 대한 유해 여부는 한국은 물론 외국에서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환경론자들은 정서상 이유까지 들어 GMO 농축산물의 유통을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앞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상품화단계에 이르기까지 우여곡절이 예상된다.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