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청년층 실업률이 좀처럼 낮아지지 않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전체 연령층의 평균 실업률이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이로 인한 엄청난 경제적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범죄증가 등 사회불안이 커질 위험 또한 무시할 수 없어 여간 걱정스럽지 않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학교를 졸업했거나 중퇴한 청년층 실업자수가 24만2천명으로 실업률이 6.1%를 기록했다. 이는 7월 전체 실업률 2.7%에 비해 두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더욱 주목되는 대목은 청년층 인구 5백23만명중 경제활동인구가 3백90만명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군에 입대하거나 대학원에 진학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더라도 상당수가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있는 셈이어서 개인은 물론 국가적인 손실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들이 구직활동에 적극적이지 않은 이유는 한마디로 구직자의 높은 기대수준을 충족시켜 주는 일자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청년층 대부분이 한번 이상 취업한 경험이 있지만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불만,전공분야 불일치,열악한 작업환경,지방근무 기피,장래성 불투명 등을 이유로 평균 23개월 정도만 근무한 뒤 직장을 그만 뒀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청년실업자의 절반 이상이 취업 제의를 받았으나 취업을 거부했다는 조사결과도 마찬가지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작업환경이나 임금수준 등이 유독 청년층에게만 열악하게 적용될 성질의 것이 아니고 보면 이를 이유로 한 청년층의 취업기피 경향은 설득력이 약하다. 그렇다면 구직자의 '눈높이'를 낮추도록 유도하고 직업윤리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현장근무를 기피하고 사무관리직만 선호하는 사회풍조 또한 하루빨리 바로잡도록 힘써야 마땅하다. 또한가지 특기할 사항은 비실용적이고 비생산적인 현행 학교교육의 문제점이 이번 조사에서 다시 한번 확인됐다는 점이다. 취업중인 청년층의 절반 이상은 학교에서 배운 전공이나 기술이 업무에 별로 도움이 안된다고 응답했으며, 청년층의 4분의 1 가량이 학교 졸업후 취업을 위해 따로 직업교육을 받았다는 것은 바로 그런 얘기가 된다. 심각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교육개혁은 더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어쨌든 정부는 청년층 실업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종합대책을 서둘러 내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