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면 다음 달부터 직업별 위험도에 따라 생명보험료가 차등 부과될 예정이라고 한다. 직업위험에 관계없이 같은 보험료율을 적용하되 위험도가 높은 고객의 경우에는 보험금 한도를 제한하거나 아예 보험가입을 받지 않는 현재의 보험 영업방식에 비하면,이번 개선조치는 위험회피를 목적으로 하는 보험의 본래 기능을 살리면서 동시에 시장원리에도 맞는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시장경쟁을 촉진함으로써 보험가입자의 이익을 보호하고 국내 보험업계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보험정책 방향에도 부합된다고 본다. 현재 보험개발원이 작성중인 새 직업별 참조위험률은 1백80개 직업군을 위험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는데 순보험료가 최고 80∼1백% 정도 차이가 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생보사는 상대적으로 위험한 직업을 가진 사람이 생명보험에 가입할 때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보험료를 더 받는 대신 이제까지와는 달리 보험금액을 제한하거나 보험가입을 거절할 수 없게 된다. 보험업계가 연말쯤 나올 예정인 새 경험생명표와 함께 이번 새 직업별 표준위험률에 주목하는 배경에는 보험시장의 구조변화가 밑바탕에 깔려 있다. 우선 저축성 상품에서 보장성 쪽으로 주력상품이 바뀌고 있고 외국계 보험사의 시장점유 확대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사업비 지출이 늘어나는 바람에 예정 사업비와 실제 사업비 지출의 차이인 비차익(費差益)이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탓에 과거에 많이 판매한 확정금리형 고금리 상품으로 인해 경영이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이래저래 보험업계 형편이 어렵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한다.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이번 조치가 행여 편법적으로 보험료를 올리기 위한 구실로 이용되지는 않을지 의심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금융감독당국은 보험업계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이미 지난해 4월과 10월 두차레나 보험료를 대폭 올려줬는데 또 보험료를 인상할 수는 없다. 국내 보험사들은 보험료 인상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구조조정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방카슈랑스 등 다양한 판매경로를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주요 기관투자가인 보험사의 위상에 걸맞게,외국보험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자산운용수익을 크게 늘리는데 주력해야 마땅하다. 그것만이 보험업계의 경영난을 해소하고 보험시장을 안정시키는 지름길이다. 보험업계의 신속하고 발전적인 대응노력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