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LG SK KT 등 국내 대표적 기업들이 북한에서 공동으로 이동통신 사업을 벌이기 위해 빠르면 4∼5일께 중국 베이징을 거쳐 북한을 방문한다. 이들 기업은 컨소시엄을 구성,북한 당국의 위탁을 받아 우선 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에 나설 예정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등 통신서비스업체와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시스콤 등 통신장비업체들은 컨소시엄을 구성,북한내에서 남한과 동일한 CDMA(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 사업을 벌이기로 하고 이번주 중 평양을 방문할 계획이다. 이들은 북한 당국 관계자들과 만나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논의하게 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0월 단독으로 실무단을 북한에 파견했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그동안 북한당국과 투자보장 등 사전정지작업을 벌여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북한 당국과의 협의를 거쳐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이동통신서비스를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평양 시내 이동통신사업에는 한국을 비롯 나진·선봉지역내 이동통신 사업권을 따낸 태국 록슬리,독일 도이치텔레콤,영국 브리티시텔레콤(BT) 등이 경합하고 있다. 록슬리는 평양시내에 4개소의 기지국을 설치,유럽 GSM방식 이동통신 서비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28년간 사업권을 보장받는 형식으로 진출한 록슬리는 북한 조선체신회사와 합작해 동북아 전화통신사(NEAT&T)를 설립했으며 오는 10월부터 평양과 나진.선봉지구에서 193-0001번으로 시작하는 휴대전화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업체들은 북한이 첨단장비 수출이 금지된 적성국가여서 국내에서 보편화된 3세대 "cdma2000 1x" 방식보다는 뒤떨어진 2세대 방식으로 평양지역에서 서비스를 할 예정이다. 국내 유휴 설비와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 많은 자금을 투입하지 않고서도 충분히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통일에 대비해 북한내에서 남한과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뤄지는게 바람직하다"며 "평양 지역은 서울처럼 고층 건물이 많지 않고 시가지도 복잡하지 않아 시뮬레이션 결과 이동통신망을 구축하는데 3백억~4백억원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강현철.김남국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