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자치단체장과 의회의원을 뽑는 지방선거가 28∼29일의 후보등록을 시작으로 16일간의 공식일정에 돌입했다. 벌써부터 혼탁 과열이 우려될 정도로 여야 각 정당들의 선거열기는 뜨겁다. 그러나 정작 국민들의 관심은 저조한 편이다. 월드컵 일정과 겹쳐 있어 외견상 그렇게 비쳐지고 있을 뿐이라면 문제가 없지만 지자체선거에 대한 무관심이라면 정말 염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먼저 지자체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과 냉정한 판단이 뒤따라야 할 것이란 점을 강조하고 싶다. 일부에서는 이번 지자체선거 투표율이 50% 미만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유권자들만이 선거에 참여하게 된다면 그 것만으로도 심각한 문제다. 4년전에 뽑힌 지자체장의 5분의 1가량이 각종 비리에 연루돼 유죄판결을 받거나 입건되는 결과를 가져온 것도 사실 따지고 보면 유권자들의 무관심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지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이번 지방선거 역시 과거처럼 대선 전초전의 의미가 부각되고 있다. 더구나 올해 대선은 일찌감치 여야당의 후보자들이 확정된 가운데 치러지고 있어 그같은 경향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이 과연 바람직한 현상인가에 대해서도 숙고해 보아야 할 과제다. 정당공천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다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지방선거가 중앙정치의 대리전으로 치러진다면 아직도 취약하기만 한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은 기대하기가 어렵다. 각 정당이 내건 지방선거 정책공약이나 후보자들이 주장하는 선거공약은 지방행정과는 무관한 것들이 대다수다. 게다가 선거때만 되면 등장하는 선심성 재탕공약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니 한심한 노릇이다. 정치권의 각성이 선행돼야 하지만 이 역시 유권자인 지역주민들이 투표권 행사를 통해 풀어야 할 숙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공정하고 깨끗한 선거를 치르는 것임을 새삼 강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돈으로 표를 매수하려는 금권선거는 물론이고,상대방에 대한 비방과 유언비어 등 흑색선전도 기승을 부릴 전망이다. 특히 정보통신수단의 발달로 소위 사이버의 위력이 높아지면서 얼굴없는 폭력이 난무할 가능성이 크다. 선거관리위원회는 물론 사정당국도 그같은 불법선거운동에 대한 철저한 단속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자칫 월드컵 열기 때문에 지방선거가 국민들의 무관심속에 치러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