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WALL STREET JOURNAL 본사 독점전재 ] 엔론사태 이후 스톡옵션에 대해 일고 있는 논란은 역사가 되풀이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미국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스톡옵션에 대한 정보공개를 둘러싼 논쟁이 가열된 적이 있다. 당시 재무회계기준이사회(FASB)는 스톡옵션 비용을 재무보고서에 의무적으로 게재하도록 하는 내용의 새 기준을 제시했다. FASB가 회계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제안했을 때 실리콘밸리와 월가는 한 목소리로 이를 반대했다. 그들의 반대논리는 최근 추진되고 있는 스톡옵션의 비용처리 방안에 대한 반대주장과 같다. 스톡옵션 비용에 대한 정보공개가 오히려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게 그 논지다. 스톡옵션이 주식가치를 얼마나 희석시킬지 아는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 주식이 고평가돼 있다고 판단하고 거래를 하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지는 건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라도 주가가 정확하게 기업의 내재가치를 반영할 때 시장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가급적 정확한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 시장이 특정 벤처사업의 가치를 과대평가하면 자원은 그쪽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것이 부분적으로 닷컴과 통신버블을 야기했던 원인이다. 스톡옵션 정보공개 방안에 대한 반대론자들은 스톡옵션의 비용을 정확히 산정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또다른 이유로 제시한다. 스톡옵션을 회계기준에 포함시키는 것은 투자자들을 오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스톡옵션 행사로 희석되는 주식가치를 산정하는 것은 쉬운 게 아니다. 원칙적으로 개별 주주들은 투자기업의 회계에 있는 모든 항목을 검토,자신만의 주가 추정치를 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자원의 낭비에 해당한다. 기업회계에 스톡옵션 비용이 반영되면 그런 수고를 덜 수 있다. 이같은 정보는 공공의 선과 같다. 회계기준이 더 많은 투명성을 담보하면 자원배분이 더 잘 이뤄지고 이는 시장을 더 잘 굴러가게 한다. 시장을 더욱 신뢰하게 된 참가자들은 그들의 돈을 시장에 기꺼이 맡기려 할 것이다. 반대론자들은 시장 참가자들이 스톡옵션이 주가에 어떤 함축적인 의미를 갖는 지를 파악할 만큼 현명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도 투자자들은 개혁안대로 제공된 스톡옵션 비용 정보에 의해 오도될 수 있을 만큼 어리석다는 상반된 의견도 동시에 개진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미국이 스톡옵션 회계 개선을 포함한 회계기준 개혁에 확고한 의지를 가져야하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아시아 외환위기 때 미국은 투명성의 미덕을 설교하면서도 역외금융을 통제하기 위한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것도 거부했다. 미국은 자국 회계기준의 미덕을 자랑했지만 결국은 세계가 엔론과 앤더슨을 비웃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스톡옵션 회계에 대한 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미국이 회계기준 개선의 절실함을 깨닫고 있고 실패로부터 배울 자세가 돼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될 것이다. 1990년대 스톡옵션 회계의 변화를 반대했던 많은 연대세력들은 이번에도 시장경제를 더욱 잘 굴러가게 하는 시도를 억제하려 하고 있다. 과거엔 국가자문위원회 재무부 상무부가 독립적인 회계이사회인 FASB의 의사결정에 개입해 개혁안을 철회토록 압력을 행사했다. 그들은 이겼지만 시장은 졌다. 이번에도 정치적인 개입에 대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정리=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 -------------------------------------------------------------- ◇이 글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셉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가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한 'Accounting for Options'를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