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들이 유전자 연구성과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장치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유전자 연구를 통한 새 지식이 오히려 빈부국간 국민 보건 격차만 더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워싱턴포스트 인터넷판이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서를 인용, 1일 보도했다. WHO는 `게놈과 세계 보건'이라는 보고서에서 유전자 연구를 통해 말라리아,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결핵 같은 치명적인 질병에 관한 새로운 치료약이 개발되고 있지만 빈국의 질병 환자들이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줄 메커니즘은 아직도 제대로 개발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할렘 브룬트란트 WHO 사무총장은 "솔직히 말해 3-5년내에 (유전공학상) 획기적인 돌파구가 생길 수 있다"면서 "그 때 이 획기적인 성과로부터 누가 혜택을 누릴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브룬트란트 총재는 "유전자 연구에서 가난한 나라 주민들은 연구대상으로 이용되지만 정작 연구 성과의 배분에선 제외될 것이라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개인 유전자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고, 유전공학 제품을 어떻게 개발.규제할 것인지에 대한 전세계적 윤리.과학적 논쟁에 개발도상국 대표들도 참여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14명의 의사, 연구자, 윤리학자로 구성된 국제팀이 작성한 이 보고서는 세계보건연구기금의 창설을 촉구한 WHO 거시경제.보건위원회의 앞서 제안을 승인하는 것이다. 세계보건연구기금은 전세계 모든 해당국에 지원금을 제공할 수 있도록 15억달러의 초기 기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보고서의 공저자이자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장인 배리 블룸박사는 미국을 비롯한 일부 기부금 제공국들이 에이즈, 말라리아, 결핵에 걸린 환자들을 돕기 위해이와 비슷한 국제기금에 이미 돈을 내놓고 있지만 "기금들이 개발도상국을 위한 기존 치료약 뿐 아니라 신약을 위해 마땅히 쓰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채한일기자 han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