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지주회사가 출범 1주년을 맞았다. 공적자금 투입 은행과 종금사 등을 묶어 지주회사 형태로 출범한 것이 우리금융이다. 외환위기 이후 금융의 구조조정과 산업재편을 촉진시키기 위한 시험대에 올려졌을 뿐만 아니라 새로 도입된 금융지주회사의 제도 정착이란 과제를 안고 출범했던 셈이다. 따라서 우리금융의 성공적인 변신여부는 우리나라 금융산업 구조개편의 성패와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큰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우리금융의 성과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경영을 얼마나 건전하게 이끌었는가가 관심사일 것이다. 영업 및 재무실적면에서 보면 정부와 약정한 모든 목표를 달성했다. 주력 자회사인 한빛은행을 비롯한 자회사들 대부분이 영업이익을 실현했고,그룹 전체의 재무 건전성도 크게 개선됐다. 비용절감과 수익확대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좀더 관심있게 짚어 보아야 할 대목은 우리금융그룹이 궁극적으로 국제경쟁력을 갖춘 종합금융그룹으로 변신할 기반을 마련했느냐는 점이다. 우리금융은 평화은행을 한빛은행에 통합하고,은행카드업무를 떼어내 독립자회사로 출범시키는 등 무리없는 구조조정을 통해 사업재구축도 비교적 성공적으로 추진해왔다. 우리 금융이 올 상반기중 증시에 주식상장이 가능하게 된 것도 그같은 경영기반 구축이 밑바탕이 되고 있음은 분명하다. 증시 상장으로 민영화의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공적자금 투입은행의 성공적인 변신에 일단 합격점을 주어도 무리는 아닐성 싶다. 하지만 우리금융이 해결하지않으면 안될 당면과제 또한 한두가지가 아니다. 당장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의 처리문제가 난제중의 난제다.지역정서를 내세워 기능통합에 대한 반대가 만만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전문기관의 연구를 토대로 결론을 내릴 방침이지만 어떤 경우라도 경제적 효율극대화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일시적으로 흑자를 냈다해서 그것이 독자생존의 이유일 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종합금융그룹으로서의 자회사 상호간 시너지 효과를 얼마나 극대화하느냐는 점은 앞으로의 최대과제다. 금융의 영역구분이 사라지고 약육강식의 정글법칙이 위세를 떨치고 있는 세계금융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얼마나 키워나가느냐가 관건이다. 특히 한국의 대표적 금융그룹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명실상부한 민영화를 최대한 앞당기는 것 또한 명심해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