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국환 < 산업자원부 장관 > 산업화시대에서 지식기반경제시대로의 이행에 따라 기술혁신이 경제성장의 핵심적인 요소로 대두되면서 세계 각국은 신기술 개발과 국가혁신시스템(National Innovation System) 구축을 위해 국가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가고 있다. 기술의 융합화 추세와 기술혁신의 가속화로 기술환경은 날로 급변하고 있으며 경쟁의 양상도 종전 '생산공정과 비용 경쟁'에서 '혁신체제간의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기술환경과 경쟁구도의 변화로 인해 우리도 선진국 따라잡기식(Catch-up) 전략을 통한 후발자의 이익 향유에 더 이상 안주할 수 없게 됐다. 앞으로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선점할 수 있는 '프론티어 창조형' 국가 기술전략이 필요하다. 지난 4년간 기업과 금융기관의 누적된 부실 처리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온 구조조정 노력이 어느 정도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기 시작함에 따라 이제는 미래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산.학.연과 정부의 모든 역량을 기술혁신에 결집해야 할 때다. 선진국에 비해 투자재원과 전문인력이 모두 부족한 상황에서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극미세기술(NT) 등 전략적 핵심기술을 하루 빨리 개발해야 한다. 자동차 조선 섬유 등 주력 기간산업의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재된 기술혁신 자원을 집적화(Clustering)하고 혁신거점간 연계(Networking)를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산업자원부는 지난 97년부터 경북 광주.전남 대구 송도 안산 충남 등 전국 6개 거점지역에 테크노파크(Technopark)를 조성함으로써 테크노파크 중심의 지역기술 혁신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테크노파크가 조기에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98년 9월 '산업기술단지지원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 테크노파크내 시험생산시설에 대해 수도권 총량제 등 각종 규제의 적용 예외를 인정했다. 또 임직원으로 근무하려는 교수와 연구원의 휴직.겸직도 가능케 했다. 6개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에 지난 5년간 9백억원을 지원한데 이어 내년까지 6백억원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테크노파크 조성을 통해 지역산업 구조를 '저생산성.저부가가치형'에서 '고생산성.고부가가치형'으로 개편하고 테크노파크의 기술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역의 기술집약적 벤처기업의 발전 토양을 제공하는 한편 산.학.연간 상호 밀접한 인적 교류로 지역 기술혁신의 구심점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테크노파크를 지역 기술혁신에 필요한 연구인력과 시설.장비.자금.정보가 통합된 '지식과 기술의 생태계'로 발전시킴으로써 '테크노파크를 통한 지역기술혁신의 창출->지역산업경쟁력 확보->국가경쟁력 제고->글로벌 혁신체제 형성에의 능동적 참여'라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테크노파크 중심의 지역기술 혁신체제 구축은 과거 중앙정부 중심의 지역산업 진흥정책과는 달리 지역의 내재적 힘에 의해 혁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산업정책의 한 수단이다. 과거의 지역산업정책이 산업단지나 물리적 인프라 구축에 치중했다면 지식기반 경제시대의 지역산업정책은 혁신시스템 구축을 중시한다. 테크노파크가 그 중심적 역할을 다할 것이다. 이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역특화산업의 첨단기술이 살아 숨쉬는 지방, 세계 기술이 모여드는 지방을 만들기 위해 지자체 대학 기업 시민 등 지역의 모든 기술혁신 주체들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