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일 한국을 방문하는 고이즈미 일본총리가 한·일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정부차원의 연구에 착수하자고 우리측에 제의할 것이라고 한다. 때마침 민간차원에서 이 문제를 논의키 위해 지난 2000년 결성된 한·일 비즈니스포럼의 한국측 위원회가 18일 한·일간 FTA를 포함한 동아시아 경제통합체 결성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요지의 건의문을 발표해 관심을 더하게 한다. 한·일간 FTA 체결은 그동안 양국이 민간차원의 공동연구에 나서기는 했으나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아 답보상태를 면치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면 일본과의 교역에서 관세장벽이 없어지게 돼 일본제품의 수입러시가 일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 또는 제3국의 외국인투자 증대효과 등을 감안하면 오히려 우리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게 연구기관들의 일치된 분석이고 보면 더 이상 머뭇거리거나 미뤄야 할 일은 아니라는 게 우리 생각이다. 특히 세계경제는 90년대 중반 이후 지역통합체 결성을 통해 상호이익 증진을 도모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비근한 예로 최근 미국이 철강수입규제를 실시하면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국가에 대해서는 적용을 제외시킨 사례만 보더라도 납득이 가는 일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어떤 자세로 임하고 있는가. 경제구조가 상호보완적인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체결마저 일부 농산물 생산농가의 반발에 부딪쳐 몇년째 논란만 거듭하고 있다. 소탐대실의 우를 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스럽다. 일본과의 자유무역협정도 같은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역협력체가 없는 유일한 지역인 동북아국가들 가운데 일본은 이미 싱가포르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고,중국도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적극 추진중이다. 우리가 지금과 같은 소극적 자세를 버리지 않는다면 자칫 동북아지역에서마저 외톨이 신세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물론 한·일 자유무역협정은 양국의 상호이익에 부합돼야 하고,따라서 충분한 사전 검토와 대책이 강구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이번 기회에 민간차원에 머물고 있는 연구를 민·관을 망라한 범국가적 대책기구를 발족시켜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주기 바란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지역 통합체로 발전돼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채비를 갖춰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