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계기로 중국시장에 대한 기대가 어느 때보다 높은데 최근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가 중국경제의 장기침체 가능성을 제기해 주목되고 있다. 우리의 손꼽히는 교역·투자 대상국으로 자리잡은 중국이 장기침체에 빠진다면 우리경제는 물론이고 세계경제에 미칠 악영향이 엄청날 수밖에 없다.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인 일본이 10년이 넘도록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그렇다. 중국경제의 앞날을 낙관할 수 없게 하는 핵심요인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중국정부의 재정적자와 국가부채다. 지난 85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중국의 재정적자는 97년 이후 급증해 지난해에는 국내총생산(GDP)의 2.7%에 달하는 2천4백73억위안을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가이드라인인 3%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지난해말 현재 5천84억위안에 이르는 국채와 1조3천억위안이나 되는 국유은행 부실채권까지 감안하면 사태는 훨씬 더 심각해진다. 다이샹룽 인민은행 은행장도 공식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부채까지 합치면 국가채무가 GDP의 60%에 이를 것이라고 우려할 정도다. 이처럼 국가채무가 급증한 배경은 실업으로 인한 사회불안을 우려한 중국당국이 성장률을 7% 이상으로 떠받치기 위해 90년대 말부터 내수진작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92년 14.2%를 정점으로 떨어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지난 몇년간은 7∼8%대를 오르내리고 있는데,올해도 서부대개발투자 농촌산업구조개혁 등을 통한 내수확대를 위해 1천5백억위안 규모의 국채발행이 예정돼 있어 당분간 중국의 국가채무는 증가할 전망이다. 그렇다고 중국경제가 당장 어떻게 되는 건 물론 아니다. 올해도 7% 성장은 무난할 것 같고 2천2백35억달러나 되는 외환보유고가 위안화 환율안정의 버팀목이 되고 있으며 금융개혁도 강화되고 있다. 문제는 우리기업들이 이런 사정을 잘 감안해 중국진출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점에 있다. 타당성을 냉정히 따져보기 보다는 시장잠재력만 믿고 성급하게 덤비는 사례가 너무나 많다. WTO가입 이후 중국시장의 확대에만 주목하는 경향이 강한데,우리 정책당국이나 기업들은 통상마찰 증가나 농촌사정 악화에 따른 중국정부의 돌발적인 정책변경 가능성에도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아도 중국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부메랑효과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 터에 중국경제의 앞날에 대한 지나친 기대는 금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