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가 당초 하반기에나 회복될 것이라던 전망을 뛰어 넘는 빠른 회복속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현장 체감경기는 물론이고 얼마전 발표된 통계청의 산업활동 동향이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낸데 이어 전경련이 발표한 경기실사지수도 75년 조사를 실시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각종 경기지표에 의해 잘 뒷받침되고 있다. 물론 수출보다는 내수위주의 회복에다 설비투자가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는 등 불안요인이 없는 것은 아니나 이제 우리 경제가 불황의 터널을 지나 회복국면에 진입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겠다. 이처럼 우리 경제의 회복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빨라지면서 당연히 제기될 수 있는 문제가 현재의 경기부양적 정책기조를 언제까지 계속할 것이냐는 점일 것이다.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경기속도 조절론을 거론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해 경기속도 조절론은 시기상조라는 것이 우리 생각이다. 최근들어 내수를 중심으로 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제 겨우 기지개를 켜고 있는데 불과한데다 이러한 반짝 회복세의 상당부분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추진한 정부의 인위적 경기부양책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물론 금년에는 양대선거에다 월드컵,아시안 게임 등이 예정돼 있어 자칫 잘못하다가는 경제의 안정기반을 해칠 우려가 매우 큰 것이 사실이다.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부동산이 과열조짐을 보이는 등 일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부작용은 돈의 흐름이 왜곡되면서 나타나는 부분적인 현상이지 경기과열에 따른 부작용으로 보기 힘들다. 이런 점에서 저금리와 재정자금의 조기집행을 근간으로 하는 현재의 거시경제정책 기조는 수출과 설비투자가 회복되면서 경제성장이 본궤도에 오를 때까지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일각에서 거론하고 있는 금리인상론은 경기가 회복되기도 전에 찬물을 끼얹는 우를 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설령 경기가 과열조짐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재정운영을 경기중립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우선이지 금리부터 인상할 일은 아니다. 그렇지 않고는 한쪽에서는 경기를 부양하고 다른 쪽에서는 경기를 조절하는 모순에 빠지기 때문이다. 지금은 섣부른 경기속도 조절을 거론하기보다는 구조조정을 마무리해 불확실성을 줄이고 왜곡돼 있는 돈의 흐름을 바로잡아 우리 경제가 본격적인 성장국면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