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부패방지위원회가 어제 신고센터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런 저런 ''게이트''다 뭐다 하여 부패척결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어느 때보다 높은 시점인지라 부방위의 출범에 많은 국민들의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특히 부방위가 기존 사정기관에 대해 감시역할을 할 수 있게 됐고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공직자 부패 신고 보상제를 도입함으로써 국민적 감시체제를 구축하게 됐다는 것은 적어도 외형적으로 볼 때 부패방지 총괄기구로서의 면목은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부방위가 제대로 기능하려면 선결돼야 할 과제가 한 둘이 아니다. 우선 검찰 국정원 등 사정기관을 감시해야 하지만 독자적인 조사권이 없는데다 기존 사정기관 출신자가 대거 사무처 요직을 차지하고 있어 사정기관과의 관계정립이 제대로 될지 의문이다. 사정기관과의 원만한 업무협조가 이들을 기용하게 된 배경이라고 하지만,검찰과 국정원 자신이 툭하면 부패스캔들에 연루돼 물의를 빚는 판에 기존 사정기관 출신의 ''구면(舊面)''들로 이들 기관을 제어하겠다는 건 처음부터 무리가 있어 보인다. 자칫하면 국가 사정체계에 형식적인 옥상옥(屋上屋) 하나를 더 추가한 것으로 끝나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 또 공직사회 부패의 특성상 알짜 정보는 조직내에 있는 사람이 아니고선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어떻게 내부 고발자의 협조를 이끌어내느냐가 관건이라고 하겠다. 내부 고발자 보호장치와 보상제도가 있어 올 한해 1만건 정도의 신고가 밀어닥칠 것이라는 게 부방위의 예상이지만 그렇게 낙관할 일만도 아니다. 오히려 남 헐뜯기 좋아하는 우리의 풍조로 보아,정당한 고발보다는 허위 날조 신고가 범람해 업무 혼선은 물론 또다른 민원을 빚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볼 때 앞으로 부방위가 제기능을 발휘하려면 공직자와 국민들의 법질서의식 회복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된다. 지금처럼 부정 부패에 대한 법의 잣대가 고무줄처럼 제멋대로인데다,떡값이다 정치자금이다 하여 부패에 대한 공직자들의 불감증이 만연하고,어느정도의 부패는 당연시하는 국민들의 너그러운 관행이 지속되는 한 부방위와 같은 조직은 역대정권에서 보았듯이 얼마 안가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크다. 부방위의 출범은 국제사회가 우리에게 찍어놓은 ''부패공화국''이라는 낙인을 지우기 위한 첫걸음에 불과하다. 이제 부패와 결별키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 국민 모두가 나설 때이다.